미래 친환경 교통수단
사통팔달 충청 입체 교통망 확장
굵직한 교통 프로젝트 동시 추진
자율주행 실증·도심항공 구축도

과거 한양과 호남, 한양과 경상을 연결하는 결절지(結節地)로 번성했던 조치원역 전경. 세종시 제공

조선시대 한양과 지방을 이었던 주요 대로(大路)는 충청을 관통했다. '사통팔달(四通八達)'의 상징이던 충청은 국가 교통의 대동맥이었다. 공주와 조치원 일대는 한양과 호남, 한양과 경상을 연결하는 결절지(結節地)로 번성했다. 인적·물적 교류가 활발하던 그 시절, 충청의 길은 곧 나라의 길이었다.

경부선 철도(1905년)와 경부고속도로(1970년) 개통으로 이어진 충청의 교통망은 근대화·산업화의 혈관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수도권 중심 성장과 영호남권 광역축 강화로 인해, 충청은 '교통의 변방'으로 내몰릴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해 있다는 지적이 많다.

이제 충청이 다시 '길 위의 중심'으로 서려 한다. 지방시대의 핵심 전략으로 '충청권 광역 메가시티'가 추진되면서, 과거 교통 중심지의 DNA를 복원하고 미래형 교통거점으로 도약하려는 시도가 속도를 내고 있다. 핵심 키워드는 '확장'과 '전환', 그리고 상생'이다.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 사업노선(최초제안서 기준). 국토교통부 제공

◇ 미래 길목 '확장'- 친환경 '전환'-메가시티 '상생'

충청권은 현재 국가 교통의 대동맥을 다시 잇기 위한 대전환의 기로에 서 있다. 광역철도, 고속도로, 공항 연계망 등 굵직한 교통 프로젝트가 곳곳에서 동시에 추진 중이다.

충청권 교통의 최우선 과제는 '충청권 광역철도(CTX)'다. CTX는 최근 민자적격성조사를 통과하며 사업 추진의 첫 관문을 넘어섰다. 대전·세종·충북을 하나로 잇는 광역 교통망의 핵심축으로, 최대 시속 180㎞의 급행열차를 투입해 대전과 세종, 충북 주요 거점을 1시간 이내로 연결할 계획이다. 사업 구간은 정부대전청사~정부세종청사~조치원~오송역~충북도청~청주국제공항까지 64.4㎞로, 2028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충청권을 하나의 경제·생활권으로 묶어 '세종 행정수도 완성'과 '광역 메가시티' 구축의 촉매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민자사업이라는 특성상 재원 조달과 수익성 확보 등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것이 최대 과제다.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 이미지. 대전시 제공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 노선도. 대전시 제공

대전시는 도심 교통혼잡 완화를 위해 3칸 굴절형 트램형 고무차륜버스를 시범 운행할 예정이다. 정림삼거리~유성온천역~충남대 7.8㎞ 구간에 투입되는 차량은 수송인원 230명을 수용하며, 도시철도 1·2호선과 연계한 환승 체계를 갖춘다. 도시철도와 비슷한 수송능력을 갖추면서도 사업비가 적고 인프라 구축이 빠른 것이 특징이다.

도시철도 2호선(트램) 건설사업도 순항하고 있다. 총 연장 38.8㎞, 정거장 45곳을 설치해 순환노선을 구축, 원도심과 신도심을 잇는 균형발전의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국내 최초 수소트램 도입은 대전시의 친환경 교통전략으로의 '전환'을 알리는 분기점으로 주목된다.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노선도. 대전시 제공

충청권 메가시티 조성을 위한 대전 중심의 광역철도 사업도 병행되고 있다. 계룡~신탄진 35.4㎞ 구간의 도심 국철을 활용, 도시철도 1·2호선과 연계한 광역철도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는 충청권 주요 도시의 활력 제고와 지역균형발전 도모, 대전 도심 내 도시철도 기능 강화를 함께 노린다.
 

대전~당진 고속도로 '첫마을IC' 신설 예상 위치도. 세종시 제공
국지도 96호선 지하차도 신설 위치도. 세종시 제공

행정수도로 위상을 높여가는 세종시는 국가중추시설과 도심 외부를 연결하는 접근성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대전~당진 고속도로에 신설 예정인 '첫마을 하이패스IC'와 '국지도 96호선 지하차도' 신설은 도심 접근성을 높이고 교통 혼잡을 완화하는 핵심 사업이다. 제2외곽순환도로 건설, 세종~대전 광역도로 추가 연결, 금강횡단 교량 신설, BRT 노선 확충 등도 빼놓을 수 없는 미래 과제다.
 

서해선복선전철-경부고속철도(KTX) 연결 노선도. 충남도 제공

충남은 '서해축 교통망'을 확충해 균형발전을 가속한다. '서해선 복선전철·KTX 직결' 사업은 2031년 개통 시 홍성~용산 구간 이동시간을 기존 2시간대에서 45분으로 단축한다. 대산산단과 대산항 접근성을 강화하는 '대산~당진 고속도로'는 지난해 말 착공했다. 태안~안성 고속도로는 3조7천억 원 규모의 민자사업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민자적격성조사를 통과하면 본격적인 사업이 가능하다.
 

잠실~청주공항 광역철도 노선도. 충북도 제공

충북은 내륙과 수도권을 연결하는 교통망 확충에 집중하고 있다. 영동~진천(오창) 고속도로, 충청내륙고속화도로, 잠실~청주공항 광역급행철도, 청주공항~김천 철도 등 굵직한 사업이 병행 추진 중이다. 특히 잠실~청주공항 광역급행철도는 수도권 접근성을 개선해 청주국제공항과 충북혁신도시를 활성화할 핵심 기반시설로 꼽힌다. 다만 총 9조원에 달하는 사업비가 최대 관건이란 지적이다.

충청 4개 시도가 역점을 두는 교통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면, 충청권은 동서(X축)와 남북(Y축)을 모두 아우르는 입체적 교통망을 갖출 것으로 보인다. 광역철도·고속도로·공항 연계망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충청권 전체가 하나의 생활권으로 '상생'하며 통합될 기반이 마련된다. 이는 충청권 메가시티 완성의 필수 조건이자, 수도권 의존도를 낮추고 지역 균형발전을 촉진하는 실질적 발판이란 평가다.
 

충청권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서비스 현황. 세종시 제공

◇ 하늘로, 도심으로…'자율주행·UAM 시대' 개막 준비도 착착

충청권의 미래 교통은 이제 땅을 넘어 하늘로도 확장하고 있다.

세종시·대전시·충북도는 BRT 노선을 기반으로 하는 광역 자율주행버스 실증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오송~세종~반석역 구간에 투입된 레벨3 자율주행 차량은 최고 시속 80㎞로 주행하며, 운전원과 안전요원이 동승해 비상상황에 대비한다. 올해까지 실증 운행을 마친 뒤, 향후 레벨4 단계 상용화를 목표로 첨단 교통기술 개발을 이어갈 계획이다.
 

세종시에서 실증 운행했던 자율주행 차량 모습. 세종시 제공
세종시에서 실증 운행했던 자율주행 차량 모습. 세종시 제공

세종시는 자율주행 기술의 신뢰성과 시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공원셔틀·청사순환 등 단거리 노선을 중심으로 무상서비스 실증도 병행하고 있다. 충남 내포신도시는 국토부로부터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로 지정받아 전국 최초로 자율주행 차량을 활용한 불법주정차 단속 및 순찰 서비스를 도입했다.
 

국토교통부는 2020년 도심항공교통 분야 주요 40여개 기관·업체가 참여하는 '도심항공교통 민관협의체(UAM Team Korea)'를 발족하고 관련 산업 육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사진은 도심항공교통 민관협의체 발족식에서 소개한 UAM 이미지. 국토부 제공

하늘길에서는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UAM) 사업이 본격화하고 있다. 충청 4개 시도는 SK텔레콤·한화시스템·한국공항공사 등이 참여한 'K-UAM 드림팀'과 손잡고 전국 최초 초광역 도심항공교통망 구축에 나섰다. 세종~청주~대전~내포를 잇는 항공 모빌리티 허브를 조성해, 충청권이 UAM 산업의 중심이 되겠다는 포부다.

충청광역연합은 '충청권 초광역 UAM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 도심 여건에 맞는 기체 안전성·운용기준 검증을 통해 향후 시범운용구역 지정을 위한 종합계획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충남은 서산·태안 일대에 미래항공모빌리티(AAM)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 중이며, 충북 청주공항은 항공·물류·관광이 융합된 복합교통허브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이는 '육상 중심 교통체계'에서 '입체형 모빌리티 체계'로의 대전환을 알리는 신호탄이자, 충청권이 대한민국 미래 교통혁신의 시험무대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충청 4개 시도와 민간 기업 연합체가 참여한 'K-UAM 드림팀'이 2023년 초광역 도심항공교통 상용화 및 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세종시 제공

◇ 충청 교통 르네상스, 다시 문 열다

충청은 예로부터 나라의 균형을 이끌어온 교통의 요충지였다. 조선시대 대로망의 중심이었던 공주와 조치원, 근대 산업화를 견인한 경부선·경부고속도로까지, 충청의 길은 언제나 '국가의 중심선'이었다. 그러나 수도권과 영·호남에 비해 국비 확보와 사업 속도에서 뒤처진 현실은 여전히 과제로 남는다.

전문가들은 "지방시대의 완성은 연결성에 달려 있다"며 "충청을 중심으로 한 국가교통축 복원이야말로 진정한 균형발전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한다.

결국 교통은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닌, 산업·인구·환경을 잇는 국가 경쟁력의 기반이자 미래 성장의 동력이다. 충청은 지금, 그 통합형 교통혁신의 무대 위에 서 있다. 조선의 대로에서 고속도로와 철도, 그리고 자율주행과 UAM까지. '길'의 진화로 대한민국의 중심이 되어온 충청은, 다시 한 번 교통 르네상스의 문을 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