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제27지구 제35시험장인 대전 호수돈여고 앞. 시험 종료 한 시간 전부터 부모들이 일찌감치 자리를 잡고 교문을 바라보며 초조한 시간을 보냈다.
학부모 송모(47) 씨는 "직접 시험을 치른 것도 아닌데 시원섭섭하다"며 "아이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는데, 이제는 부담 내려놓고 푹 쉬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학부모 이진호(50) 씨는 "이제 성인이 되는 길목에 서 있다는 생각에 뿌듯하다"며 "앞으로 새로운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시간이 시작된 것 같다"고 기대했다.
시험 종료와 함께 굳게 닫혔던 정문이 열리자 수험생들이 쏟아져나왔다. 환한 미소로 손을 흔드는 학생이 있는가 하면, 부모와 눈이 마주치는 순간 눈시울이 붉어지는 모습도 보였다.
임은샘(19) 양은 "최선을 다해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올 것 같다"며 "수능이라는 큰 짐을 덜어 후련하다. 면접 준비가 남았지만 당장은 친구들과 놀고 싶다"고 숨을 고르듯 말했다.
뒤이어 나온 고한영(19) 양은 "못 푼 문제가 아쉽다"며 "입시 기간 동안 제대로 쉬지를 못 해서 당분간은 연극 관람도 하고, 책도 읽으면서 푹 쉬고 싶다"고 했다.
같은 시각 제27지구 제33시험장 서대전고 앞 역시 긴장감 속에서 학부모들과 학생들이 몰려들었다. 학부모들은 교문 너머를 바라보며 연신 자녀를 찾았고, 시험을 먼저 마친 학생들은 서로의 얼굴을 살피며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한모(40대) 씨는 "기다리는 내내 더 떨렸다. 올해는 2007년생도 많고 재수생도 많아 경쟁이 치열할까 걱정됐다"며 "아들이 잘 보고 나오기를 바라는 마음뿐"이라고 했다.
또 다른 학부모 민모(51) 씨도"부모 마음은 늘 아이가 만족할 만한 결과를 바라는 것"이라며 "아이가 '언제는 안 그랬겠냐'며 담담히 나와 더 대견했다"고 말했다.
학생들의 표정은 홀가분함과 아쉬움 등으로 표정이 엇갈렸다.
친구를 마중 나온 김원식(19) 군은 "수능이 끝나니 너무 홀가분하다"며 "의자에 장시간 앉아있는 게 너무 힘들었는데, 시험을 잘 본 거 같아 기분이 좋다"고 웃어보였다.
이모(19) 양은 "생명과학이 조금 어려웠다. 더 잘할 수 있었는데 아쉽다"며 "수능 끝나고 부모님과 해외여행을 가기로 해서 기대 중"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관련기사
- [2026학년도 수능] 국·수·영, 지난해와 난이도 비슷…변별력 확보 '초점'
- [포토] 수능 마친 수험생을 잡아라
- [2026학년도 수능] "수능 끝나도 입시는 계속"…수시 논술·면접고사 시작
- 55만 명 응시한 최대 규모 수능…탐구 유불리 주목
- "수험표 할인 가능해요" 유통가도 수능 이벤트 총력전
- "수능 영어, 기본 또는 사용빈도 높은 어휘 사용해 출제"
- 충북서 수능 부정행위 3건 적발…시험 종료 후 답안작성 등
- 수험생 77% 사회탐구 응시…대입 가르는 '사탐런'
- 청주서 수능 1교시 후 호흡곤란 수험생…"병원서 시험"
- EBS "수학 난이도, 지난해와 비슷…상위권 변별력 강화"
- '어? 이 학교가 아니네'… 충남경찰, 수능생 10명 긴급수송
- 올해 수능 필적확인 문구는 '초록 물결이 톡톡 튀는 젊음처럼'
- 수능 1교시 결시율 9.4%, 작년보다 '뚝'…대전·충남북 전국 평균 웃돌아
- 출제본부 "국어, 교과서 기반 출제…학생 부담 줄였다"
- 민주당·국민의힘 대전시당, 수험생에 "노력 결실 맺기를" 응원 물결
- "이미 충분히 이뤘다"…세종 수능 시험장, 조용한 응원 속 긴장감
- "그동안의 노력대로 좋은 결과 있길"…충남, 수능날 응원 열기
- 조병옥 군수, 수능 수험생 격려
- 금산경찰서, 2026학년도 수능 대비 '종합 안전대책' 가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