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러문항 배제' 속 난이도 평이…최상위권 변별력은 유지
의대 정원 축소·응시자 급증에 경쟁 치열…성적표 12월 5일 배부
7년 만에 가장 많은 수험생이 응시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막을 내렸다. 정부의 '킬러문항 배제' 기조에 따라 전반적으로 평이한 난도로 출제됐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주요 문항에서 최상위권을 가르는 변별력이 유지돼 이른바 '물수능'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김창원 수능 출제위원장은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제 방향 브리핑에서 "고등학교 교육 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출제했다"며 "교육과정에서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함으로써 고등학교 교육의 정상화에 도움이 되고자 했다"고 밝혔다.
올해도 이른바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 배제 기조가 유지됐다.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는 내용만으로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정 난이도 문항을 고르게 출제했다는 설명이다.
입시의 최대 변수로 꼽힌 '사탐런'에 대해선 유불리 논란을 키우기엔 무리가 있다는 입장이 나왔다. 주요 대학 자연계 모집단위에서 사회탐구를 인정하면서 자연계 수험생이 과학탐구 대신 사회탐구로 대거 이동했고, 이에 따라 영역별 유불리 문제가 대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확산됐다. 특히 과탐 응시자가 크게 줄어 1등급 커트라인이 높아질 것이란 우려가 제기돼 왔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사탐런 현상은 선택과목 유불리 문제가 영역 간 유불리 문제로까지 퍼진 형태"라며 "그러나 애초에 세운 목표 난이도에 따라 작년 수능 기조와 올해 6·9월 모의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에 근거해 문제를 출제한다면 그러한 선택과목 유불리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의대 정원 축소에 더해 총 응시자 수가 55만 4174명으로 2019학년도 이후 가장 많아지면서 최상위권 경쟁은 불가피하게 치열해졌다. 이로 인해 당락을 결정하는 까다로운 문항이 다수 포함됐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
문제 및 정답 이의신청은 이날부터 17일 오후 6시까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 이의신청 전용 게시판에 하면 된다. 평가원은 심사를 거쳐 25일 오후 5시 정답을 확정해 발표한다.
성적 통지표는 12월 5일 수험생에게 배부된다.
관련기사
- [2026학년도 수능] 국·수·영, 지난해와 난이도 비슷…변별력 확보 '초점'
- [2026학년도 수능] "수능 끝나도 입시는 계속"…수시 논술·면접고사 시작
- [현장스케치] "고생했어!"…눈물·웃음 뒤섞인 대전 수능 종료 현장
- [포토] 수능 마친 수험생을 잡아라
- "수험표 할인 가능해요" 유통가도 수능 이벤트 총력전
- "수능 영어, 기본 또는 사용빈도 높은 어휘 사용해 출제"
- 충북서 수능 부정행위 3건 적발…시험 종료 후 답안작성 등
- 청주서 수능 1교시 후 호흡곤란 수험생…"병원서 시험"
- '어? 이 학교가 아니네'… 충남경찰, 수능생 10명 긴급수송
- 올해 수능 필적확인 문구는 '초록 물결이 톡톡 튀는 젊음처럼'
- 수능 1교시 결시율 9.4%, 작년보다 '뚝'…대전·충남북 전국 평균 웃돌아
- "이미 충분히 이뤘다"…세종 수능 시험장, 조용한 응원 속 긴장감
- "그동안의 노력대로 좋은 결과 있길"…충남, 수능날 응원 열기
- 조병옥 군수, 수능 수험생 격려
- 금산경찰서, 2026학년도 수능 대비 '종합 안전대책' 가동
- 수능맞이 청소년유해환경 유관기관합동단속
- [사진뉴스] 현대제철, 수능생 응원과 생수, 핫팩 전달
- 서일고, 수능 앞둔 선배들에게 따뜻한 하굣길 응원
- 오늘 수능… "떨지말고 시험 잘 보고 와" 고사장 앞 열띤 응원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