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수습 어떻게 새누리 내각 쇄신 요구에 "심각성 인식… 심사숙고" 일정 수행하며 타개책 모색
![박근혜 대통령이 26일 청와대를 방문한 앙헬 구리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총장을 접견하기 위해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https://cdn.daejonilbo.com/news/photo/201610/1236440_201869_1015.jpg)
박근혜 대통령은 전날 대국민 사과를 한 데 이어 이날 공식 일정을 소화하면서도 타개책을 찾기 위해 고심했다.
박 대통령이 직접 국민 앞에 고개를 숙였음에도 여론이 더욱 악화된 데다 여야의 인적 쇄신 요구와 함께 새누리당 일각에서 박 대통령의 탈당까지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하지만 사과한 지 불과 하루가 지난 상황에서 마땅히 내놓을 수습 카드가 없다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일단 박 대통령은 새누리당 지도부가 요청한 청와대와 내각의 전면적인 인적개편 등 국정 전반의 쇄신 요구에 대해 심사숙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이정현 대표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당 최고위원회의 입장을 들었다. 이번 사태의 심각성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이 대표가 공개했다. 이에 따라 빠르면 27일에라도 인사를 단행할 수 있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국민눈높이에 맞는 인적쇄신으로 국정공백을 최소화하면서 정면돌파하겠다는 의지로 받아 들여진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도 "인적 쇄신은 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해 그 불가피성을 인정했다.
실제로 일부 참모진을 중심으로 일괄 사퇴론이 나왔지만 "아직 때가 아니다. 난파선을 떠날 수 없지 않느냐"는 반론 속에 우선 수습책 마련에 총력을 다하자는 분위기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권 동향과 일반 국민 여론을 예의주시하면서 검찰 수사 진행 상황에 따라 구체적 대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견되는 대목이다.
인적 쇄신과 관련, 정연국 대변인은 "따로 드릴 말씀이 없다"고 밝혔다. 정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박 대통령 대국민 사과의 후속조치로 대통령 탈당이나 개각, 청와대 개편 등을 검토하느냐는 물음에 이같이 밝혔다.
최 씨에게 연설문 등을 사전에 보낸 것이 대통령기록물관리법 위반일 수 있다는 지적에는 "언론 보도 분석을 보니 대부분은 (법 위반이) 아니라는 분석이 많았다"고 답했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유출 부분도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이거나 포함될 부분도 있으니까 검찰 수사를 보도록 하자"고 말했다.
한편 박 대통령은 이날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을 접견한 데 이어 군 장성 진급 및 보직 신고를 받는 등 예정대로 공식일정을 소화했다. 아버지인 박정희 전 대통령의 37주기 추도식에는 참석하지 않았다. 서울=송신용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