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지 대통령" "탈당하라" 비난 국가적 위기 후폭풍 등 우려도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등은 26일 이번 사태를 '최순실 게이트'로 규정하고, 중립 내각 구성을 요구하는 등 박근혜 대통령과 정부를 향해 맹공을 퍼부었다.
다만, 일각의 '탄핵'이나 '하야' 목소리에는 정치적 역풍 같은 반작용을 경계하며 선 긋기에 나섰다.
민주당은 이날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어 전날 최고위원회에서 결정한 특검 안을 추인하고, 대규모 인적 쇄신 등을 촉구했다.
추미애 대표는 의총 인사말에서 "바지사장은 많이 들어봤는데 바지 대통령은 처음 들어봤다"면서 "외국에 나가기 창피하다는 말이 나온다. 최순실 수렴청정 정부가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국정을 무직자가 농단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비서진도 전면교체하고 특검을 받아야 한다며 범죄가 드러나면 일벌백계하는 데 있어 대통령도 예외일 수 없다"고 박 대통령을 직접 겨냥했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의총에 앞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해 형사소추를 할 수는 없지만 조사는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가는 대통령에 대한 형사소추를 금지하지만 그렇다고 진실을 밝힐 의무까지 면책하고 있지는 않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재인 전 대표는 특별성명을 통해 "대통령이 초래한 위기가 북핵보다 더 무섭다"며 "당적을 버리고 국회와 협의해 거국중립내각을 구성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은 탈당, 관련자들에 대한 법적 조치 등 헌법에서부터 시작해 대통령이 할 수 있는 모든 법규에 정해진 조치를 내려야 한다"며 국정을 전면쇄신할 혁명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나 '하야'에 대해선 신중한 모습이었다. 후폭풍과 함께 국정 공백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속내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차기 대권 가도를 감안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민병두 전 민주정책연구원장은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대통령의 하야나 탄핵 등 궐위 상태에서 북핵위기와 경제위기를 감당하기는 어렵다"며 "차기 정부를 검증할 시간을 주지 않고 바로 대선을 치르게 되면 미래불가측성을 심화시킬 것이라는 비판도 있다"고 말했다. 천정배 전 대표도 입장자료를 내고 "탄핵은 국가적인 위기이자 비극이다. 그런 만큼 최후 수단이 돼야 하고, 가능한 한 없어야 한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서울=송신용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