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 입지의 경제적 확장성. 국립치의학연구원 천안 설립 추진위원회

지난달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국립치의학연구원 입지를 공모 방식으로 선정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천안을 단독 지정할 가능성이 희박해졌다. 정 장관이 문제의 발언을 한 것은 이재명 대통령이 주재한 대구 타운홀 미팅 자리에서다. 당시 행사 비중에 비추어 볼 때 정 장관 발언으로 치의학연 입지는 공모 방식으로 굳어진 것과 진배없다. 치의학연 천안 설립은 이 대통령 대선 지역 공약에 포함돼 있다. 이를 뒤집고 공모 전환을 공식화했다. 지역에서 경계하며 우려했던 바가 현실로 닥친 것이다.

치의학연 설립을 주도해 온 주체는 충남도와 천안시, 그리고 지역 정치권이다. 토론회, 대국민 설문조사, 전문가 간담회, 학술대회 등을 통해 여론을 환기시킨 데 이어, 근거 법안인 보건의료기술진흥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할 수 있었던 것도 지역 출신 전·현직 의원들의 중추적 역할이 있었기 때문이다. 전국 최고 입지로 손색없는 천안아산역 인근의 융복합 R&D 지구 부지 매입도 완료해 놓은 단계다. 해당 부지는 최대 3053평까지 확장이 가능하다. 또 청주·인천공항, 평택항, 고속철도, 수도권 전철 등으로 전국 1 시간권 내에 있다. 지난해 1월에는 GTX-C노선도 확정됐다. 치의학연 설립 최적지라는 평가를 공연히 내세우는 게 아니다.

천안에 치의학 융복합 후보지가 준비돼 있는데도 정부는 전국 공모 전환을 기정사실화했다. 명백히 약속을 어기는 처사다. 치의학연 유치를 위해 제일 먼저 출발해 가장 오랜 기간 달려온 '거리'가 있으며 동시에 총력을 다한 곳이 충남 천안이다. 지금 와서 일절 없었던 일로 하고 다른 지자체들 상대로도 유치 신청을 받을 모양이다. 내년 공모를 전제로 부산, 대구, 광주가 유치전에 뛰어들 경우 4 파전 구도로 굳어질 공산이 크다. 천안은 마라톤 경주에 비유하면 절반 이상 레이스를 펼쳤다. 그런데도 다른 도시들과 다시 뛰라고 할 참이다. 이게 있을 수 있는 일인지 묻게 한다.

충남도와 천안은 충북·강원과 광역 협력체계를 구축한 데 이어, 24일에는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도 치의학연 천안 설립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천안 입지의 타당성, 확장성을 방증한다. 무엇보다 내년은 지방선거의 해다. 공모하게 되면 필시 정치권의 손을 탈 것이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