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일보 DB

전국 주요 4년제 대학 10곳 중 8곳에서 2025학년도 정시 합격점수 공개 기준을 직전 년도와 다르게 바꾸면서 2026학년도 정시 예측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됐다.

23일 종로학원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를 통해 전국 주요 4년제 대학교 99곳을 대상으로 2025학년도 정시 합격점수 공개 기준을 분석한 결과, 81개 대학(81.8%)이 전년도와 합격점수 공개 기준을 다르게 발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81개 대학 중 72개 대학은 국어·수학·탐구 과목별 백분위 점수로 공개 방식을 바꿨고, 9개 대학은 자체 환산 점수로만 공개했다.

서울대는 2025학년도 신입생 정시 합격점수를 자체 환산 점수로만, 연세대는 각 과목별 백분위 점수로 공개했다. 고려대는 전년도와 동일하게 국어·수학·탐구 합산 평균 점수로 발표했다.

합격 점수 공개 기준이 달라지면 전년도와 점수 변화 비교가 어렵다. 대학·학과 간 상대 비교도 사실상 어려워진다.

종로학원은 "2026학년도는 수능이 어렵고, 여기에 의대 모집인원 대폭 축소, 이른바 '사탐런' 현상 등이 크게 발생했다"며 "지난해 정시 합격점수 공개 방식도 변경돼 정시 예측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발표 방식이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2024학년도 이전 데이터와 2025학년도 달라진 합격점수 발표 등을 종합적으로 들여다봐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