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시는 2025년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인 '문화나루교육사업'과 '청청바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사진=공주시 제공
공주시는 2025년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인 '문화나루교육사업'과 '청청바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사진=공주시 제공

[공주]공주시는 2025년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인 '문화나루교육사업'과 '청청바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시는 성과공유회를 열어 참여 학생들의 활동 결과를 일부 발표하고, 2025년 운영 성과와 보완 방향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두 사업은 공주의 역사·문화·생태 자원을 기반으로 한 청소년 체험·탐구형 교육 모델로, 5월부터 11월까지 관내 중고교생 2,970여 명을 대상으로 운영됐다.

올해 참여 학교는 공주중, 공주여중, 봉황중, 영명중, 사대부중, 유구중, 경천중, 우성중 등 8개 중학교와 공주고, 공주여고, 정보고 등 3개 고등학교로 총 11개교가 참여했다.

교육은 학교 교실과 공주 주요 문화유적지를 병행해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은 지역의 실제 공간에서 지역성·역사성·환경 가치를 이해하는 현장 중심 학습 경험을 쌓았다.

'문화나루교육사업'은 △역사·문화 탐방 △문화예술 체험 △환경·사회교육 △인문학 강의 △공주 특성화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됐다. 특히 공산성, 무령왕릉 등에서 진행된 탐방형 수업은 학생들이 지역의 역사적 가치와 문화적 맥락을 직접 체감할 수 있어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환경 분야에서는 '지구를 키우는 실험실', '쓰임 그 이후' 등 탄소중립과 자원순환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미래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도 높였다.

최원철 시장은 "공주의 문화·역사·생태 자원을 교육과 자연스럽게 연결하면서 지역이 곧 배움터가 되는 교육환경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청소년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공주형 교육모델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청소년 주도형 '청청바톤' 프로젝트는 학생과 지역 전문가가 협업해 지역 문제를 탐색하고 해결 모형을 설계하는 방식으로 추진됐으며 세대 협력, 마을 공간 활용, 진로 탐색 등 다양한 주제가 다뤄져 학생들의 자기 표현력과 공동체 의식, 지역 이해도를 높이는 계기가 됐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