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각) 공개된 CNN 인터뷰에서 "중국이 대만을 공격한다면 북한도 도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 이번 인터뷰는 윤 대통령이 제77차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지난 21일 뉴욕을 방문했을 때 진행됐다. (사진=CNN)
윤석열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각) 공개된 CNN 인터뷰에서 "중국이 대만을 공격한다면 북한도 도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 이번 인터뷰는 윤 대통령이 제77차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지난 21일 뉴욕을 방문했을 때 진행됐다. (사진=CNN)

윤석열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대만 문제와 관련, "대만 주변에서 군사적 분쟁이 생길 경우 북한의 도발 가능성도 증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방영된 미국 CNN 방송 '파리드 자카리아 GPS' 인터뷰에서 "중국이 대만을 공격할 경우 미국의 대만 방어를 지원할 것이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변한 뒤 "대한민국에서는 강력한 한미동행을 바탕으로 북한 도발에 대응하는 것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인터뷰는 윤 대통령이 제77차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미 뉴옥을 찾은 지난 21일 진행됐고 25일 밤 방영됐다. 

윤 대통령은 '미국이 대만 분쟁에 대응하기 전에 한반도 방위 공약을 먼저 이행해야 한다는 것이냐'는 후속 질문에 대해서는 "미국의 우선순위에 대해 답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면서 "한반도와 대만 모두 미국에 중요하며, 미국과 동맹국 및 파트너 국가들에 의해 지켜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대만 해협 문제에 대해서는 내 입장은 항상 분명하다"면서 "언제 어디서 이 문제에 대해 질문을 받든지 간에 나는 항상 같은 답변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만해협을 둘러싸고 미·중 간에 군사적 분쟁이 벌어지면 한반도 정세도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만큼 그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고, 특히 다른 역내 위협에도 북한 위협에 집중해야 한다는 뜻으로도 풀이된다. 

나아가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지난 8월 대만을 방문한 뒤 방한했을 때 만나지 않은 것이 중국 때문이 아니냐"에 대한 질문에는 "국회의장 초청으로 방문한 펠로시 의장을 휴가 중인 대통령이 만나야 하는지에 대해 여러 의견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나는 펠로시 의장뿐만 아니라 6명의 하원의원과 즐겁고 유익한 전화 통화를 했으며 우리는 매우 생산적이고 우호적인 대화를 했다"며 펠로시 의장을 면담하지 못한 대신에 전화 통화한 사실을 상기시켰다.

그러면서 "펠로시 의장도 내가 휴가 중인 상황에 대해 이해를 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북한 위협 문제와 관련, 국제사회가 우크라이나나 대만에 더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고 말한 뒤 "한국의 입장에서 가장 임박한 위협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라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윤 대통령은 중국이 대만해협 상공으로 전투기를 보내고 있다고 거론한 뒤 "대만 해협과 관련해서는 중국이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한미동맹과 관련해선 "한미 안보동맹은 이제 경제동맹, 첨단기술동맹으로 강화되고 있다"며 "전 세계의 평화와 안정, 그리고 세계 시민의 자유 수호를 위해 한미 간에 여러 측면에서 과거와는 비교될 수 없을 정도로 (관계가) 발전되고 있고 앞으로 더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제가 과학자들에게 물어볼 때마다 과학자들은 미국이 세계에서 가장 기술이 발전돼 있기 때문에 미국과 협력해야 한다고 말한다"면서 "군인에게 물어보면 그들은 미국이 군사력 차원에서 압도적인 능력이 있다고 말한다"며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우리의 사회, 경제, 정치를 더 진전시키기 위해 우리는 미국의 시스템으로부터 배워야 할 것이 많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