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발생으로 정부 주요 전산망이 일부 마비된 가운데, 경찰·소방당국이 3차 합동감식에 나섰다. 발화지점 추정 배터리와 화재 과정이 담긴 폐쇄회로(CC)TV) 확보를 토대로 발화 의심 지점에 대한 정밀 감식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29일 대전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30분부터 경찰·소방당국·국립과학수사연구원 10여 명이 3차 합동감식에 착수했다.
전담수사팀 팀장을 맡은 김용일 대전청 형사과장은 이날 취재진을 만나 "전날까지 합동감식을 진행해 발화 지점 추청 배터리를 확보해 안정화 작업을 거치고 있고, 불이 나는 과정이 담긴 CCTV도 확보해 분석 과정에 있다"고 밝혔다.
CCTV에는 불이 나기 전후 상황이 담겨 있지만, 정확히 불이 난 곳을 비추는 화면은 없었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경찰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의 정밀 감식을 통해 정확한 발화 지점과 원인을 규명할 계획이다.
당시 작업이 배터리 전원을 끄고 이뤄졌는지에 대해서도 배터리가 불에 녹아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어 감식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경찰은 화재 발생 이틀째인 지난 27일부터 화재 당시 전산실에 있던 배터리 이전 관련 업체 관계자 7명을 불러 조사했으며, 이외에 현장 관계자들도 조사 절차를 밟고 있다. 아직 국정자원 관계자는 조사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당시 현장에 13명이 있었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까지 아직 입건된 피의자는 없으며, 배터리 외에 현장에서 수거된 증거물들을 국과수에 넘기는 등 세밀 분석 과정에 있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김 형사과장은 "기본적인 사실관계 조사가 이뤄지고 있어 입건 단계는 아니다"라며 "배터리 외에 현장에서 수거된 전동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들 국과수에 넘긴 상태로 사용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