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행복청, 사업시행자로 '㈜세종 스마트시티' 지정
21종 스마트 서비스 및 건축설계 등 도시 개발 절차 이행

세종 국가시범도시(5-1생활권) 조감도. 국토부 제공

지지부진했던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합강동·5-1생활권) 조성 사업이 드디어 첫 삽을 뜨게 됐다.

국토교통부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를 조성할 사업시행자로 '㈜세종 스마트시티'를 지정하고 사업 추진에 본격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행복청은 스마트도시법(제12조)에 따라 ㈜세종스마트시티를 사업시행자로 승인하고,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국비를 지원한다.

민·관 특수목적법인(SPC)으로 설립된 ㈜세종스마트시티는 세종시와 공기업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 기업 컨소시엄(O1)이 공동 출자해 만들었다. 기업 컨소시엄에는 엘지CNS, LG유플러스, 케이비증권, 한양, 포티투닷, 나인투원, 씨제이올리브네트웍스, 휴맥스모빌리티 등 13개사가 참여한다.

새로운 형태의 도시건설을 위해 공공이 정책, 예산지원, 부지조성 등을 담당하고, 민간의 자율·혁신성을 접목하자는 취지로 이 같은 체계를 도입했다.

SPC는 시범도시에 도입될 21종의 스마트 서비스 설계·개발과 건축설계 등 도시 개발을 위한 절차를 이행하게 된다.

이번 승인 기간은 2037년까지다. SPC 설립 후 5년간은 도시 개발과 서비스를 구축하고, 구축 이후 10년간 SPC 주도로 도시를 운영하게 된다.
 

세종 5-1생활권 스마트시티 공간 구상도. 행복청 제공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는 백지상태의 신규 부지에 혁신기술을 집약해 세계적 수준의 스마트시티 선도모델을 조성하고, 도시를 운영하면서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기 위해 계획됐다.

행복도시 합강동 일원 총 2.74km2(83만평)를 시범도시로 지정해 약 1만가구, 2만4000여명이 거주하는 스마트시티를 건설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모빌리티 △헬스케어 △일자리 △에너지·환경 △교육 △문화·쇼핑 △거버넌스 등 7대 혁신요소가 도입된다.

특히 자율주행 셔틀, 수요응답형 버스, 통합 마스(MaaS) 등 스마트교통을 비롯해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인공지능(AI)·데이터허브, 통합 배송서비스 등 신기술이 총 망라된 서비스가 제공된다.

도시 콘셉트는 보행자 친화적인 모빌리티 특화 도시를 지향하고, 직주근접 제고를 위한 용도혼합용지(주거·상업 등 복합)가 도입된다.

이 가운데 '선도지구'는 세계 첫 민간 주도 스마트시티로 개발된다. 전체 면적 중 약 10%인 34만354㎡(약 10만평) 규모로, 혁신벤처스타트업존과 스마트리빙존, 주차장(5265㎡) 등으로 이뤄진다. 선도지구는 3842가구, 8415명이 거주할 예정이다.
 

세종 스마트시티 7대 혁신 요소. 행복청 제공

국토부와 행복청 관계자는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를 시민들이 안전하고 편리한 스마트 서비스를 누리는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세종시와 LH 등 관계기관과 적극 협업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는 LH와 SPC가 토지대금 문제로 이견을 보이면서 사업 착공이 지연돼 왔다. 양측이 2022년 사업시행 합의 당시 땅값 부분에 대한 근거 규정을 계약서에 구체적으로 적시하지 않으면서 대립해 왔고, 지난해 8월 양자간 토지매매대금 관련 본계약을 체결하면서 사업 추진에 물꼬를 텄다. 이에 따라 당초 2026년 예정된 일반분양도 2028년 이후로 2년여 가량 늦어지게 됐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