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국제무역항이자 중국과 최단거리에 있는 `대산항`의 명칭 변경은 어떻게 해야 하나.

학계에서는 `대산항`을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경쟁력 강화차원에서 `서산항`으로 바꾸는 것이 타당하다는 의견을 꾸준히 제시해온 반면 대산지역민들은 멀쩡한 이름을 왜 바꾸는지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 해묵은 논쟁은 이미 10여년 전부터 현재까지 진행형이다.

대산지역민들은 이 논쟁이 불거질 때마다 대산항 명칭 변경 반대 현수막을 내걸고, 해수부 반대 집회를 여는 등 물리적 저항으로 지금까지 `대산항` 이름을 지켜왔다.

맹정호 시장은 최근 신년 언론인과의 간담회에서 `대산항` 명칭 변경은 "대산주민들의 동의를 얻어 결정하는 것이 상식"이라며 주민들의 입장에 섰다.

그러나 `대산항` 명칭 변경을 보는 맹 시장의 시각 보다 `대산항` 자체를 바라보는 맹 시장의 편협한 시각이 문제다.

시는 지난해 조직개편을 통해 `대산항` 업무를 맡은 `항만물류과`를 없애버리고, 해양수산과로 통폐합시켜 `대산항` 업무를 맡겼다.

`항만물류과`가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는 상황에서 조직 인력의 효율적 배치 차원이라는 게 시의 설명이었다.

조직 개편에 앞서 서산시의회 사전 업무보고 자리에서 의원들은 1차산업과 4차산업의 융화에 문제점을 지적, 부정적 의견을 시에 전달했다.

특히 임재관 의장은 당시 SNS에 공개적으로 문제를 삼고, 지난달 언론인과의 간담회에서 `특정 부서 통합은 시대상황을 역행`이라고 재차 지적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대산항` 활성화에 열정적으로 노력해오다 조직이 와해되는 모습을 인지한 A팀장은 사표를 내고 시를 떠났다.

맹 시장 취임 후 대산항과 중국 용얜항의 국제여객선 취항 지연에 대해 `시가 양치기 소년`이라고 표현해 온 것이 A팀장의 자존감 상처와 함께 조직개편이 이어지면서 더 이상의 역할을 찾기 어려웠다는 후문이다.

`대산항`이 국내·외 안팎의 여러 문제로 현재 적체된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렇다고 맹 시장까지 `대산항`을 등한시 하면 `대산항`은 어찌할 건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박계교 서산주재 차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