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을 대표하는 산업단지는 2곳이다. 1·2단지인 대전 대덕구 대화·읍내동 일원 대전산업단지와 3·4단지인 대덕구 문평·신일동 일원 대덕산업단지다. 이중 맏형을 꼽으라면 대전산단이다. 대전산단 조성 움직임은 1968년부터 시작됐지만 초대회장이 1979년 취임했으니 이를 기준으로 대전산단은 내년 마흔 살이 된다. 1993년 초대회장이 취임한 대덕산단과도 무려 14년이 차이 난다. 대전산단은 가히 대전 산업의 터줏대감이라고 볼 수 있다.

지나온 세월 탓인지 노후도 진행됐다. 그 동안 대전 산업을 이끌어온 공을 인정했는지, 국토교통부는 2009년 전국최초로 노후산단 재정비사업 시범산단에 대전산단을 선정했다. 오는 2021년까지 2493억 원을 투입해 산단에 새옷을 입히겠다는 게 목표다.

그런데 정작 대전산단 내 입주기업은 달갑지 않은 모양새다. 오해는 대전산단 입주기업이 공해, 악취, 수질 등 환경문제를 유발한다고 지목한 것에서 출발했다. 대전산단을 친환경 산단으로 조성하겠다는 것인데, 입주제한 업종을 지정해 해당 업종에 포함되면 앞으로 대전산단에 입주를 할 수가 없게 했다. 이 방침은 기존 산단 내 기업의 발을 묶었다. 산단 내 기업이 규모 확장을 위해 대전산단을 떠나려면 부지를 팔아야 하는데, 그 부지를 살 기업이 입주제한 업종에 걸리다 보니 거래를 매끄럽게 이룰 수 없게 된 것이다. 더욱이 현재 입주한 기업 중 입주제한업종에 해당되는 기업 80여 개사는 2026년까지 산단을 떠나야 한다. 오랜 시간 산단을 지켰지만, 돌아온 대접이 이 정도이니 억울할 만 하다.

산단 내 기본 시설인 `주차장`도 없다. 재생사업에는 주차장 개설이 반영되지 않았다. 취재 중 만난 산단의 한 기업인은 "가장 기초 시설인 주차장이 시급한데, 예산 반영은 커녕 계획도 없다"고 볼멘소리를 냈다. 이재관 대전시 부시장은 지난 10일 밝힌 국비 반영 계획에서 "대전산단 주차장사업은 반영되지 않았다"며 "사업 중단이 아니라 정부 사업에 선정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아쉬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대전산단 재생의 초점은 산단 내 기업에 둬야 한다. 실효성 없이 옷만 갈아입힌다면, 근시일 내 또 다시 옷을 갈아 입혀야 하는 수고가 따를 것이다. 허울 뿐인 재생에 끝나선 안된다. 아직 3년의 시간이 남았다.

김대욱 취재 2부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