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인상 등에 대한 노사의 날선 공방으로 파업 전운이 감돌았던 을지대병원이 무사히 사태를 매듭지으면서 지역 의료계가 안도의 한숨의 내쉬고 있다.

올해에는 을지대병원 뿐만 아니라 노사 협상에 난항을 겪었던 건양대병원의 파업 가능성이 커지면서 의료계의 우려는 그 어느 때보다 컸다.

게다가 두 병원 모두 노조가 예고한 전면파업일 직전 혹은 당일에 합의가 이뤄질 정도로 급박하게 전개되면서 긴장감을 더욱 고조 시켰다. 병원이 파업을 하게 되면 필수 인력을 제외한 대부분의 인력이 참여하게 되고, 이는 병원 운영 차질로 이어져 결국 지역 의료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의료계의 관심이 클 수 밖에 없는 이유다.

특히 지역 다른 종합병원들 같은 경우에는 내부적으로 이들 병원의 노사 교섭이 원만하게 이뤄져 파업까지 치닫지 않기를 바라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미 지난 2년간의 을지대병원 파업 사태를 통해 응급환자 증가, 의료진 부담 가중 등 부작용을 경험해 봤기 때문일 것이다.

어찌 됐든 두 병원이 노사 간 합의점을 찾았다는 점은 다행한 일이다. 노사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결과는 아니더라도, 파업이라는 최악을 사태를 막음으로 인해 시민들은 평소와 다름없이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다만 내년에도 파업사태가 반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장담하기는 어렵다. 종합병원들이 매년 임금인상 등에 나서고는 있지만 여전히 서울·경기도 등 수도권에 비해 간호사를 비롯한 의료 인력에 대한 처우가 매우 부족하다는 인식 자체가 지워지지 않고 있어서다. 이는 대전 출신 간호사들이 지역 의료기관 보다는 처우가 좋은 타 지역 의료기관이나 상대적으로 근무환경이 편한 요양병원 등을 선호하게 만드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7 한국의료 질 보고서`를 보면 대전의 의료 수준은 전국 평균을 상회한다. 암이나 심혈관 질환 등의 의료질은 수도권 보다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의료 인력은 여전히 수도권을 향하고 있다. 진정한 지역 의료 발전을 위해서라면 이제 의료 수준 만큼 의료 인력에 대한 처우도 높여야 되지 않을까. 취재2부 박영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