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한반도 내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보복의 일환으로 `한국 관광 중단`이라는 극단적인 카드를 들고 나오면서 온 나라가 경제적 타격을 우려하는 목소리로 뒤덮이고 있다.

이로 인해 의료관광 산업 육성에 매진하고 있는 대전시의 경우에는 중국 내 반한(反韓) 분위기 고조로 인해 올해 외국인 환자 유치 목표인 1만 명을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2015년만해도 러시아 (580명, 7.2%)나 미국 (572명, 7.1%)보다 3배 이상 많은 1974명(24.4%)의 중국인 환자가 대전을 찾았을 정도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역 의료계 내부의 모습은 사뭇 다르다. 향후 중국인 환자 감소가 예상되는 만큼 적절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 대부분의 의료기관들은 오히려 이번 사태에 대한 심각성을 느끼기보다 관찰자 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해 동반자적 입장을 고수해야 할 시와 의료기관의 시각 차이는 왜 발생하는 것일까. 이는 외국인 환자 유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 등 기본적인 입장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지역 경제 활성화` 등 효과를 노리는 시와 달리 의료기관들은 관련 인력 확보 등 노력에 비해 얻을 수 있는 수익이 적기 때문에 외국인환자 유치에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중국, 러시아 등 외국인 환자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각 국가별 국제의료관광 코디네이터 등 전문 인력 확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추가 인건비 지출이 불가피하다. 각 의료기관 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외국인 환자 유치로 인한 수익은 전체 수익의 2-3%에 불과하기 때문에 추가 인건비 지출은 의료기관의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한다.

물론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각 의료기관들이 외국인 환자를 유치하기 어렵다는 점도 한 요인으로 꼽힌다. 대부분의 외국인 환자들이 지방보다는 인천 국제공항과 가까운 서울과 경기도 등 수도권 지역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2009년 6만 여명에 불과했던 국내 외국인 환자 수는 2013년 20만 명을 돌파했을 정도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만큼 외국인 환자 유치는 시대적인 요구가 된 것이다. 앞으로 더 큰 상승곡선을 그리기 위해서는 의료기관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한 끗`이 필요하다. 취재 2부 박영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