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나연 디지털뉴스1팀 기자
진나연 디지털뉴스1팀 기자

최근 메가시티가 세간의 화제다. 김포를 서울로 편입하고 인접한 지방자치단체도 서울로 포함시켜 몸집을 키우자는 이른바 '메가 서울' 구상이 이슈의 시작이었다.

이를 둘러싸고 지방분권 역행, 포퓰리즘 등 반발 여론이 적지 않게 나오고 있다. 특히 비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비판의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당초 '메가시티'는 더 잘 살기 위한 도시의 비전이 아닌 살아남기 위한 지방의 '생존' 전략이었기 때문이다.

이미 수도권 일극체제에 따른 지방소멸은 현실화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이달 초 발간한 '지역 간 인구이동과 지역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수도권은 약 12%의 국토에 50%가 넘는 인구가 몰려 세계적으로도 이례적인 수준의 집중도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 인구의 집중 정도를 보여주는 인구 지니계수는 2000년 권역기준 0.47, 시도기준 0.42에서 올해 각각 0.49 및 0.46으로 상승하는 등 인구 집중도가 높아지는 추세다.

수도권으로의 청년층 이탈은 물론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 등 사회적 문제는 가속화되고 있다. 이는 비수도권 지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 인구유출과 지역 경제 악화의 악순환을 부른다. 수도권 집중화가 결국 국가경제의 안정과 성장 기반을 약화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전·세종·충남·충북 4개 시·도를 한 데 묶은 '충청권 메가시티'는 지방자치단체의 동반성장 전략으로, 2020년 11월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메가시티) 추진 합의문'을 채택하면서 시작됐다.

지난해 설립 방안과 중장기 발전전략이 수립됐으며, 이후 2024년 특별지자체 출범과 2025년 행정구역 통합을 목표로 올 1월 '충청권 특별지자체 합동추진단'이 출범하는 등 지방시대 새로운 생존 모델로 구축되고 있다.

충청권 메가시티가 아직 결실을 맺기도 전에 서울을 메가시티로 만들겠다는 구상이 발표되면서 지방의 생존 전략이 자칫 헛구호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는 '단생산사(團生散死)'의 정신으로 속도감 있는 '충청권 메가시티' 추진을 위해 힘을 합쳐야 할 때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