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뉴스1팀 신익규 기자
디지털뉴스1팀 신익규 기자

연일 치솟는 물가에 전기세와 가스비, 상수도요금 등 분야를 막론한 공공요금 도미노 인상이 이뤄지고 있다.

인상 소식만을 들려주는 공공요금의 근황에 소상공인의 허리는 휘청이고, 서민들의 지갑 사정은 두터워질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다.

여기에 소비자물가까지 상승 폭을 키웠다는 비보가 들려와 명절 대목을 앞둔 시점에서 서민들의 가계 부담이 한층 가중될 전망이다.

각종 경제 지표가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지만 간만에 공공요금을 둘러싼 희소식이 들려왔다.

한국수자원공사가 수도요금 동결을 2년 더 연장하겠다는 선언을 하면서다. 수자원공사는 앞서 2016년 요금 인상 이후 7년 동안 수도요금을 동결했는데 최근 서민들의 가계 사정을 감안해 동결을 연장키로 한 것이다.

허리띠를 졸라매는 수자원공사의 원가 절감 방식도 독특하다. 수도 사업 운영의 디지털화를 앞당겨 생산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원가 상승을 억제하겠다는 방안이다.

신규 개발 지역 용수 수요에 맞춤형 대응법을 찾아 약 260억 원의 매출 상승을 노리고, AI 등을 적극 활용한 스마트 인프라 구축에 나서 시설 가동에 요구되는 전력과 약품 등에 지출을 아껴 165억 원을 절감한다. 분석 결과 각종 에너지 비용 상승 등으로 연간 370억 원의 수돗물 생산 비용 상승이 전망되는데, 수자원공사만의 비용 절감 방식으로 상승 비용을 억누르겠다는 얘기다.

수자원공사에서 생산하는 광역 상수도는 지자체를 거쳐 시민들에게 공급되는 만큼 상수도요금의 인상 기조가 주춤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지방상수도 원가 중 광역 상수도의 비중은 약 22%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공공요금의 동결은 공기업 및 공공기관의 부채 확대로 이어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하지만 머리를 맞대 원가 절감 방안을 도출하는 적극행정을 보인다면, 부채 부담 없고 서민들의 가계 부담도 덜어줄 수 있는 일석이조의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이번 수자원공사의 사례를 말미 삼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용 절감과 물가 안정 등이 이어지길 바라 본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