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용역 결과 모듈트레일러 활용 이축 결정, 상반기 이전업체 선정
이전 이후 중단됐던 대전역세권 재정비 촉진사업 본격화 전망

대전 동구 소제동에 위치한 철도보급창고. 사진=대전일보DB
대전 동구 소제동에 위치한 철도보급창고. 사진=대전일보DB
국가등록문화재 제168호 대전 철도보급창고(옛 철도청대전지역사무소 보급창고 제3호)가 통째로 옮기는 형태의 이축 방식으로 최종 결정되면서 이전 작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국내에서 단 한차례도 시도되지 않았던 `모듈트레일러 방식`으로 이전이 추진되면서 향후 이전 작업에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보여진다.

19일 대전시에 따르면 최근 `철도보급창고 이전 관련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 결과 `모듈 트레일러`를 통한 이축(移築) 방식으로 철도보급창고를 이전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앞서 시는 문화재청 자문에 따라 원형 보존을 위해 해체가 아닌 문화재를 지면과 분리해 이동시키는 이축 또는 분리 이축 방식 등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한 채 용역을 추진해왔다.

시는 철도보급창고 이전계획 용역 결과 `모듈트레일러 방식`을 이전 방식으로 최종 결정했다. 이 방식은 약 10m 길이의 특수 트레일러 차량을 연결시켜 건물을 수평으로 7m 가량 리프팅시켜 올려놓은 뒤 옮기는 것이다. 철도보급창고의 이전 대상지는 내년 12월 완공 예정인 신안2 역사공원(동구 신안동 232-4번지 일원)이다.

그동안 국내에서 이축 방식을 통해 경기도 하남시 구산성당, 전북 익산 근대역사관(구 삼산의원, 분리 이축) 등을 이전했지만 `모듈트레일러 방식`은 대전이 첫 도입, 시도하는 방식이다. 국내 첫 이축 사례인 구산성당은 지난 2017년 `드잡이 레일이동 공법`을 통해 원형 그대로 200여m 떨어진 망월동으로 옮겨졌다. 철근 파이프 레일 위에 구산성당을 올려 하루 12m 정도씩 이동하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분리 이축 사례인 익산 구 삼산의원은 `절단 공법` 등 원부재를 최대한 재사용해 근대문화유산의 원형을 보존했다.

그런데, 철도보급창고가 지난해 4월 강풍으로 일부 지붕이 탈락되면서 보수가 필요한 상황에서 앞으로 용역업체 선정 등 이전 작업에 적지 않은 난관도 예고되고 있다.

대전시 한 관계자는 "용역 과정에서 구조 안전평가나 시뮬레이션을 해 본 결과 부분 해체 없이 온전히 옮겨서 가는 방식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며 "모듈트레일러를 통한 이축 방식은 문화재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앞서 구산성당에 적용된 공법보다 훨씬 진화된 형태"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특수한 기술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수행 가능한 업체가 많지는 않지만 현재 3-4곳 정도는 가능할 것으로 보여 업체 선정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며 "이축 업체가 일부 보수와 구조보강까지 마친 이후에 옮기는 방식으로 추진된다"고 말했다.

특히 시는 올 상반기 중 철도보급창고 이전을 위한 용역업체를 선정한 뒤 하반기 중 본격 이전을 추진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철도보급창고가 위치한 동구 소제동 일원은 대전역세권 재정비촉진사업의 일환으로 동광장길 조성사업이 추진 중인데, 현재 철도보급창고를 비롯한 지장물 등 이전 문제로 지난해 12월부터 중단된 상태였지만 이전 작업이 본격화될 경우 재정비촉진사업이 물꼬를 틀 것으로 전망된다.

대전시 건설관리본부 관계자는 "동광장길 조성사업은 현재 보상 등 모든 절차를 마치고 지장물 이전만 남아있다. 문화재 이전이 끝나는 시점에 따라서 공사를 재개하려고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