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현 대전상권발전위원회 회장
장수현 대전상권발전위원회 회장
지난해 1월 창궐한 코로나19로 인해 올 11월 중순까지 22여 개월 동안 이어진 거리두기로 대전에 등록된 19개 상가단체를 비롯해 230여 개 골목상권이 무참히 무너져 특별한 개선 정책이 나오지 않고는 회생할 수 없는 지경까지 왔다.

그동안 정부는 전통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수많은 정책과 예산으로 수단과 방법 가리지 않고 하드웨어인 주차장 아케이트 등과 소프트웨어인 온누리상품권 및 기획이벤트 등에 수십 조를 쏟아부으면서 전통시장의 매출은 10% 수준으로 증가하는 결과물이 나온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그럼에도 지극히 걱정되는 것은 미등록 상권은 물론 등록된 상권 중에서도 서비스 픔목과 주류, 외식류 업종이 큰 타격을 입은 점이다. 2019년 대비 매출이 마이너스 75%를 기록하는 등 이러한 수치는 그동안 상상도 못했던 통계다. 지역 14만 자영업자 중 3만 명이 폐업하고 11만 명의 자영업자만이 겨우 연명하고 있다. 연명하는 이들도 하루하루를 연체로 돌려막는 등 생과 사의 기로에 서 있는 상황이다.

은행동 상점가를 예를 들면 하루 15만 명이 다녀갔던 중부권 최고의 상권이 하루 4000명도 다녀가지 않는 등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지역 상권은 황폐해질 대로 황폐해진 것이 현주소다. 휴폐업률은 40%대로 높아졌고 은행 1구역 상권은 을씨년스러울 정도로 슬럼화돼 상권이 몰락하고 있다.

지원금 등 턱없는 손실 보장으론 이 난국을 어찌 헤쳐나가야 하는지 한숨만 지어진다. 금융권에서 신용사면이란 강력한 유예정책을 피든지 금융권에서 풀어줘야 한다. 물밀 듯 몰아치는 피해를 방관해선 안 된다.

금리는 오르고 물가는 천정부지 치솟아 감당할 수 없는 지경에 대전시가 할 수 있는 역량은 한계가 있겠지만 그래도 지역 상인들을 위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해 손이 닿지 않는 곳까지 방책이 나와야 함에도 미등록 상권들의 상권 등록 절차마저 복잡하고 어렵기만 하다.

상권 지원은 전통시장에 비해 절차상 문제점이 많다. 상권 지원을 위해 등록 기준을 완화하는 등 많은 제도적 지원이 확대돼야 지역 내수경기가 활성화될 것이다. 상인들도 국민이고 시민임에도 지원은 턱없이 부족하다.

잡초가 흔들릴 때는 강력한 태풍이 올 것이라는 예고다. 보다 큰 피해가 있기 전 사전 예방이 그래서 중요하다. 정부와 금융권은 힘을 합쳐 강력하고 효과적인 금융정책을 펼쳐야 한다. 서민경제와 내수경기에 온 힘을 기울이는 정책이 간곡하게 필요하다. 내수경기 활성화의 초석은 자영업자들의 상권을 확대시키는 것이 최우선 방책이다. 책상이 아닌 현장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지역에는 지역상권의 회생과 발전을 위해 무보수로 봉사하는 상권책임자들이 수백 명 있다. 그들과 상호교류해 정책을 발굴하면 상권을 보다 살릴 수 있을 것이다. 볼거리와 먹을거리, 즐길거리 등을 만들어야 집객력을 높일 수 있다. 아무도 알아주지 않아도 사람이 모이고 영업이 잘 되면 상인들의 얼굴엔 밝은 미소가 띤다. 상권책임자들은 그 모습을 보기 위해 사명감을 갖고 있다.

한 영업장을 운영하려면 수천에서 수억 원의 시설권리금을 주고 인테리어에 많은 돈을 들인다. 고객을 맞이하던 업장 방문은 뒤로하고 편리성을 이유로 시민들은 최근 배달을 많이 이용한다. 동네 골목상권을 방문하면 볼거리와 즐길거리, 먹거리를 통해 삶의 휴식을 접할 수 있다. 그랬던 시대로 다시금 함께해주길 간청할 뿐이다.

얼마 전 갑천변에 열기구가 날고 있는 모습을 보며 오랜만에 대전의 평화로운 세상을 봤다. 지역 상권을 위해 많은 전문가들이 생기고 자영업자들에게 희망을 주는 그런 대전시가 되길 기원한다. 정신적으로 물리적으로 하나되는 시민과 상권이 돼야 한다. 장수현 대전상권발전위원회 회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