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1부 임용우 기자
취재1부 임용우 기자
기상(氣象)은 우리 삶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다. 과학기술이 발달하기 이전에는 가뭄, 홍수 등의 천재지변이 왕의 부덕으로 여겨지기도 할 정도로 인간과 날씨는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사람의 힘으로 막을 수 없는 날씨의 변덕이 우리의 삶을 피폐해지게 하기도, 윤택하게도 만든다. 날씨를 통제하기 위해 인신공양이라는 좋지 않은 문화가 당연하게 여겨지는 시기도 있었다.

일상 생활에 날씨가 다양한 영향을 미치며 날씨 예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많은 사람들이 그날 날씨 예보에 따라 복장, 출퇴근 방식을 결정한다.

최근 들어 기상청의 예보를 보면 아쉽기만 하다. 강수량부터 날씨까지 오보가 잦아지며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잃고 있기 때문.

대전지역에서는 많은 강우가 예상됐을 때 비가 오지 않거나 적은 강수량을 보이기도 했다. 최근에는 적은 비를 예상했다가 홍수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9호 태풍 바비 때도 서해안과 대전지역에 강한 비바람이 몰아치며 피해가 예상됐으나 큰 피해는 없었다.

다행인 소식이지만 강한 비바람에 대비하던 시민들 입장에서는 허탈한 것은 분명 사실이다. 이에 기상청은 `오보청`, `기상중계청`이라는 오명을 썼다.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예보가 어긋날 때마다 기상청에 대한 믿음은 낮아져만 간다.

이와 관련해 스콜성 강우와 날씨의 변동성이 커 예측이 힘들다는 기상청의 입장도 이해는 간다. 강수량 예측이 틀렸을 뿐, 강수 적중률은 높아 기상청의 잘못이 적다는 주장마저 잇따른다.

그간 쌓인 국내 날씨 데이터가 적어 외국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고도 한다.

하지만 분명한 점은 기상청의 예보 실패는 막대한 인명피해를 야기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수백, 수천 명이 집을 잃고 가족을 잃었을 때 대비의 문제라고 볼 수는 없다. 기상청의 예보가 실제 날씨와 근접했다면 대비도 확실해졌을 것이라는 이유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기후 변화가 심해질수록 이번 장마와 같은 극단적인 기상 상황이 자주 발생할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과거처럼 원하는 날씨가 이어지길 하늘에 빌어야 하나. 취재1부 임용우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임용우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