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해 전 취재를 위해 일본 동경만 산반제를 다녀온 일이 있다.

산반제는 동경만에서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바지락, 게, 가자미 등 풍부한 어장으로 오랜 역사를 갖고 있고, 물새류의 중계지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만큼 산반제는 동경만 아랫목에 남겨진 귀중한 갯벌로 평가 받았다.

그러나 전쟁 후 고도의 경제성장 속에서 대규모 매립과 도시화 때문에 산반제 주변 환경은 크게 바뀌는 등 개발 파고를 겪기도 했다.

갯벌 면적이 크게 감소하고, 수질오염 등으로 어민들의 어업생산량은 눈에 띄게 감소하게 됐다.

산반제 갯벌은 1950년대 후반 대규모 매립계획이 세워지면서 최대 위기를 맞았으나 지역주민들과 환경단체 등이 중심이 된 갯벌보전을 위한 시민운동이 시작되면서 더 이상의 매립은 이뤄지지 않았다.

그 결과 지난 1983년부터 열린 조개잡이축제는 4-6월까지 적게는 30여일부터 많게는 50여일까지 이어지면서 해마다 10만 명이 찾는 도시민들의 휴식처로 인기가 높다.

개발보다는 보전을 인내한 일본인들이 지금 그 혜택을 받고 있다.

세계 5대 갯벌로 평가 받고 있는 가로림만.

서산시와 태안군에 접해 있는 이곳은 1만 5980여㏊에 162㎞ 해안선, 8000여㏊의 갯벌이 있는 국내 유일의 해양생물보호구역이다.

그러나 호리병 모양의 지리적 구조 때문에 조수 간만의 차이가 커 한 때 조력발전소 건설 얘기가 나오면서 개발과 보존 논쟁의 중심에서 주민들의 갈등이 심했다.

개발 풍파에다 지역주민들에게 갈등의 상처를 남긴 가로림만이 이제, 생태가치 자산을 주민들에게 돌려주기 위한 해양정원으로 꿈틀거리고 있다.

최근 충남 15개 시장군수들의 모임인 충남도지방정부회의와 220만 충남도민의 염원을 담아낸 `가로림만 해양정원 결의대회`까지 분위기는 무르익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양승조 충남도지사, 맹정호 서산시장의 공통 공약은 이 사업은 현재 한국조세재정연구원에서 경제성 분석 등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연말 최종 발표를 앞두고 있다.

가로림만 갯벌의 가치가 새삼스럽다.

박계교 지방부 서산주재 차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