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2부 문승현 기자
취재2부 문승현 기자
숙의(熟議), 아름답다. 민주주의, 찬란하다. 둘을 합친 `숙의 민주주의`는 얼마나 장엄한가. "앞으로도 숙의 민주주의는 내 임기 내내 주요한 부분에서 해나갈 계획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의 선포다. 광역단체장 임기 4년 중 반환점을 도는 시점에서 나온 말이니 평소 신념에다 지난 2년의 시정경험이 더해져 신봉에 가까운 확신으로 굳은 듯하다. 3분. 허 시장이 숙의 민주주의를 설명하는데 할애한 시간이다. 그의 말을 받아 적어 보니 200자 원고지 4매, 800자 가까이 된다. 15일 `보문산 도시여행 인프라 조성계획`을 발표하는 브리핑 자리에서다. 이렇게 말했다. "어떤 결정을 하고 계속 사회적 갈등으로 남아 있는 것보다 충분한 시민 숙의를 통해서 사회적 합의를 이루고 그 다음 일관되게 추진하는 게 훨씬 더 경쟁력이나 시민사회 전체 공동체의 합의를 가져가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본다."

동의한다. 그의 말대로 현안마다 갈등이 있고 이해당사자가 있고 충돌이 벌어지기도 하니 사회적 합의가 중요하다. 하지만 언제까지냐가 중요하다. 보문산을 예로 들자. 보문산 활성화는 박성효 시장 시절부터 나온 얘기다. 2002년 보문산에 있던 지역 최대 규모의 놀이시설이 문을 닫고 2005년엔 보문산을 오가던 케이블카도 멈춰 섰다. 1965년 도시자연공원 지정, 1968년 8월 케이블카 개통 이후 30여 년 동안 시민 발길이 끊이지 않았던 보문산을 `재활성화`하는 것은 그래서 역대 시장의 단골 공약이었다. 20년 긴 세월, 사업 이름 빼고 무엇이 달라졌나. 환경훼손 우려는 그때도 있었고 먹고 살기 어려우니 뭐라도 해달라는 지역주민과 상인들의 호소도 그대로다. 시장이 바뀌고 담당 공무원은 바뀌었겠다. 20년 숙의도 모자라 지난해 민관공동위원회를 만들어 공론화 과정을 거쳤는데 연결수단 같은 핵심쟁점에서 또 숙의가 필요하다고 하니 말문이 막힌다. 코로나19 후폭풍으로 소상공인은 속절없이 나가떨어지고 월급쟁이들은 마른 수건을 짜낸다. 지금 시민들에게 숙의는 또 다른 의미일 듯하다. 숙의 민주주의는 허 시장의 신념일 수 있지만 시정에서 전가의 보도는 될 수 없다. 취재2부 문승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