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은선 취재1부 기자
강은선 취재1부 기자
"시민 혈세가 들어가는 만큼 충분한 숙의는 필요하지만 이젠 보다 유의미한 논의를 해야 할 때입니다."

최근 만난 지역의 한 연극인은 대전시립극단 창단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방향성엔 이견이 없는 데 왜 이렇게까지 지지부진한 지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지역 연극계의 숙원인 대전시립극단 창단 논의가 2년 넘게 공회전하고 있다. 그동안 대전은 광역시 중 유일하게 시립극단 부재 도시가 됐다.

시립극단 창단은 대전 문화예술의 활성화와 다양하고 질 높은 공연으로 대전 시민의 문화복지 욕구를 충족시키는 한편 공연예술인 상생으로 안정적 창작환경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속적으로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지속가능한 지역 연극 생태계 구축을 위해 연극인들은 꾸준히 시립극단 창단을 역설해왔다.

시립극단 창단 필요성은 오래 전부터 언급돼왔지만 발전적인 논의로 이어지기는 데에도 한참이 걸렸다. 2018년 대전에서 열린 대한민국연극제가 본격 논의의 계기가 됐다.

지난 2년 간 대전연극협회와 대전시는 3회에 걸쳐 공청회를 열었다. 시립극단 운영 방향성, 정체성 등에 대해 머리를 맞댔지만 아직까지 구체화되지 못하고 있다.

시민 혈세로 운영되는 극단인 만큼 다각도로 검토하고 숙고하는 것은 옳은 방향이다. 그러나 오래 붙잡고 있는다고 더 나은 방안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

코로나19로 지역 문화예술계는 예측하지 못한 사태를 맞고있다. 어려운 시기지만 오히려 시립극단 창단 논의에 속도를 내야 하는 당위성이 강조된다. 지난 달 대전문화재단이 발표한 `2019 대전예술인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전 문화예술인 10명 중 1명은 월평균 소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소득 규모로는 100만-200만 원 미만이 가장 많았다.

시립극단 창단이 지역 연극계의 건강한 생태계 구축을 보장하진 않는다. 그러나 대전은 연극인이 `머무는` 도시가 아닌 `떠나는` 도시다. 생태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제도적 장치는 적극 지원돼야 한다. 대전시가 시립극단 창단에 속도를 내야 할 이유다. 강은선 취재1부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은선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