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은선 취재1부 기자
강은선 취재1부 기자
"`좋은 문화예술 정책`이 되려면 정책을 시행하면서 `보완`하려는 노력도 중요한데, 글쎄요."

최근 만난 대전지역 문화계의 한 인사는 대전문화재단의 `지역 문화예술계 컨트롤타워 역할`에 대해 아쉬움을 표했다. `아쉬움`을 표했다기 보다는 소극적 행정력으로 일관하는 문화재단을 `질타`한 것에 가까웠다.

지난 해 10주년을 맞은 문화재단은 올해 앞으로의 10년의 비전을 선포하며 새 출발을 다짐했다.

그러나 지역 문화예술계가 늘 지적하듯, 문화예술인이 필요로 하는 `정책 현실화`엔 아직도 다가가지 못하고 있다.

일례로 `예술창작지원 사업`의 경우다.

대전문화재단이 예술인들의 창작 활동 활성화를 위해 지원하고 지역민의 문화 예술 향유 기회를 높이는 `예술창작지원 사업`은 깐깐한 선정 절차만큼이나 쓰임새도 까다롭다. 지원금을 창작 결과물에만 사용해야 하고 증빙 서류까지 제출해야 하다 보니 "선정됐다고 그저 좋은 일만은 아니"라는 이야기가 예술인들 사이에서 나올 법하다.

문화예술인들이 이와 관련해 지속적으로 지원금 사용처 범위를 `결과물에서 창작 준비`까지로 확대해 달라고 건의했지만 여전히 반영되지 않았다. 지난 해까지 사업비가 국·시비 매칭이어서 법적 제한이 있었지만 올해는 전액 시비여서 좀 더 유연한 행정력이 기대됐던 터다.

얼마 전 참석했던 원도심문화예술인 모임에서도 비슷한 의견이 나왔다. 같은 사업의 자격 범위도 확대해야 한다는 제언이었다.

지역 문화계의 한 인사는 현재 `예술창작지원 사업` 신청 자격 범위를 `대전`에서 `전국`으로 문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민 문화예술 향유라는 관점에서 기회 확대는 물론 격차를 줄인다는 사업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기 위해서다. 지역 문화예술계 카르텔 형성 가능성을 차단하고 타 지역과의 교류까지 이을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고 했다.

문화 분권은 각 지역별로 `지역만의 문화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서 시작한다. 그러기 위해선 소통이 바탕이 돼야 한다.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화할 `적극적인 행정력`도 요구된다. `대전형 문화 정책`을 수립하는 데 이 원칙이 우선 순위에 있어야 하는 이유다. 강은선 취재1부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은선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