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BMW 차량에서 연이어 원인미상의 화재가 발생해 국민들의 뜨거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안전성과 프리미엄 이미지로 수입차 시장에서 압도적인 지위를 구축한 독일차, 그중에서도 전세계 4위의 판매량을 자랑하던 BMW의 연쇄 화재 사건은 그 발생과 처리의 과정에서 세계 일류 자동차 회사의 모습이라고는 믿기지 않는 실망스러움을 보여줬다. 또한 이를 관리하는 정부기관인의 대처 또한 소비자와 국민의 안전과 권익을 최우선시 하는 모습과는 상당히 동떨어진 모습을 보임으로 소비자들이 이 사건으로 입은 피해를 보상받고 다시 안전하게 차량을 운행할 것이라는 기대를 하지 못하게 하는 이유가 됐다.

이번 사건을 바라보며, 우리가 얼마나 안전불감의 사회 속에 살고 있는가, 기업과 정부가 소비자와 국민의 안전과 생명에 얼마 만큼의 책임의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생각해보게 된다. 차량의 화재사건, 특히 운행 중 화재사건은 생명과 직결됨에도 원인미상의 사건이 특별한 관리나 조치 없이 이토록 오랜 시간 방치돼 왔음에 대다수의 국민들은 놀랄 수 밖에 없다.

무분별한 공포 조장도 위험하지만, 현재 소비자들이 처한 위험과 손해를 체계적으로 확인하고 점검하며 보상하는 시스템이 이 사회에 존재해야 한다는데는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생명을 잃은 만큼 큰 사고나, 소비자 집단소송이나 대정부 민원 등을 통한 스스로의 구제 활동이 아니면 기능하지 않는 사회 시스템이라는 것은 우리 사회의 수준을 여실히 들어낸다고 볼 수 있다. 안전에 대한 두려움, 리콜에 대한 시간적 물질적 손해, 사고손해보상청구과 소송, 사회적 시선 등 소비자들은 부당하게 자신들의 권리를 침해받고 있다.

BMW차량 화재사건은 그 최초 사건 발생으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과정을 통해 기업의 소비자에 대한 이기와 기만이 어떠한 결과로 귀결되는가를 보여주는 사례로 기억될 것이다. 문제는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대처는 소비자들의 상식과 권리에 부합되는 것이어야 한다. 아직 끝나지 않은 이 사건이 우리나라의 소비자보호 수준을 격상시키는 기회가 되길 기대해본다.

조광휘 대전YMCA 이사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