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능력시험(수능)은 1994학년도부터 새로 실시된 대학입시제도에 따라 시행되고 있다. 통합 교과서적 소재를 바탕으로 사고력을 측정하는 문제 위주로 출제되고 있다. 수험생의 선택권을 넓히는 한편 출제 과목 수는 줄여 입시부담을 덜어주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이후 1997학년도 대학별 본고사가 폐지되면서 만점이 기존 200점에서 400점으로 높아지기도 했다. 이 때문에 변별력 또한 높아졌다는 평이 나온다. 또 사회·과학탐구 등 선택과목이 등장했고, 사교육을 줄이기 위해 한국교육방송공사(EBS)와 연계한 정책도 등장했다. 하지만 이에 따른 단면도 있다. 매번 새로운 개편안이 제시되면서 수험생들과 학부모들의 불만을 키웠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은 올해도 어김없이 나타났다. 절대평가를 확대하는 것을 골자로 한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이 우리 사회를 혼란에 빠뜨린 것이다. 앞서 교육부는 수능 개편을 지난해 3월부터 추진해왔다. 이후 국어·수학·탐구는 상대평가를 유지하고 나머지 4과목을 절대평가하는 1안과 전 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2안 등 두 가지 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개편안은 적극적인 지지를 받지 못했다. 아니 개편안에 대한 찬성의견보다 반대쪽 의견이 더 많았다는 게 맞을 듯 싶다. "사교육 시장을 더 키울 수 있다", "대학별 본고사가 다시 부활할 수 있다"는 반대 여론만 키워냈다. 교육부가 전국을 돌며 진행한 총 4차례의 공청회에서도 이러한 문제점은 여실히 지적됐다.

우리 사회는 최근 한달간 수능 개편안을 놓고 여러 잡음을 낳았다. 학부모들과 해당 시험을 치르게 될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불만이 속출했다. 계속된 논란에 급기야 정부는 수능 개편을 1년 유예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당시 교육부는 "4번에 걸쳐서 공청회를 진행한 결과, 교육주체들 간의 의견이 너무나도 팽팽하고, 사회적 합의도 충분하지 않았다는 걸 알게 됐다. 소통과 공론화 과정이 더 필요했다"며 유예 입장을 내놨다. 그동안 수능 개편을 고수하려던 강행입장을 선회한 것이다. 이러한 논란을 교육부 스스로가 자초했다는 점에서 여러 비판이 나오고 있다.

더욱 문제는 전국적으로 혼란을 키운 교육부가 국민들에게 사과한마디 없었다는 점이다. 교육은 국가의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라는 점에서 정부의 책임 있는 대국민 사과를 기대해본다.

취재 2부 이호창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호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