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첫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에 유영민 전 포스코 경영연구소 사장이 내정됐다.

유 내정자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출발해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풍부한 현장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업 연구소장·전문경영인을 거치면서 융합적 리더십이 큰 장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제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 대응 △국가 연구개발(R&D) 체제 혁신 △핵심과학기술 지원 △미래형 연구개발 생태계 구축 등 대한민국의 성장동력 마련을 위한 미래창조과학부의 핵심 과제를 성공시킬 적임자로 유 내정자를 지명했다.

ICT 출신 기업인이 미래부 장관으로 내정되면서, 새 정부의 과학기술정책이 ICT 분야로 쏠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다. 과학기술 정책의 향방을 좌우할 과학기술보좌관에도 ICT 분야 전문가인 유웅환 전 인텔 수석 매니저가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과학기술 분야와 ICT 분야가 통합돼 운영된 미래창조과학부 체재에서 과학기술 분야는 홀대 아닌 홀대를 받아왔다. 비교적 빠른 시간 안에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ICT 분야와 같은 잣대로 평가를 당하면서 성과 창출의 압박에 시달려 기초과학 연구등에 집중하기 어려운 연구환경이 되자, 성과주의예산제도(PBS) 아래 기초과학 연구자들도 인공지능(AI)·빅데이터·사물인터넷 등 조명받는 분야 연구에 열을 올리는 현상도 빚어졌다.

그만큼 과학기술 분야에는 개선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는데, 장관 등 새 정부 과학계 주요 인사가 이렇게 나자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한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의 중요성은 공감 하나 원천기술 개발·기초연구 등이 뒷받침 돼야 4차 산업혁명의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라며 "미래부 장관도 ICT 전문인, 과학기술보좌관도 ICT 전문가가 거론되는 이 상황에서 과학기술계는 이전 정부와는 다른 이유로 허탈감에 빠지고 있다"고 말했다.

과학기술 분야는 장기적인 안목과 통찰력이 필요하고 확실한 운영철학과 중장기적 로드맵이 뒷받침 돼야 한다는 게 과학기술계의 중론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문재인 정부의 인선에서는 `과학기술`은 빠져 있고, 4차 산업혁명을 위시한 `ICT`만 있다는 이야기가 많다. 과학기술 분야는 과거에는 우리 경제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했고, 다가올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도 `퍼스트 무버`(first mover)가 되기 위한 필수 요소다. 새 정부가 과학기술계 목소리에 귀 기울이길 기대한다.

김달호 취재1부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달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