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의 기원, 바이러스

자신의 안식처인 숙주를 쑥대밭으로 만들어놓는 무서운 파괴 본능을 드러내는 바이러스는 인류에게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는 두려움의 존재로 여겨진다. 하지만 최근 잇따라 발표되고 있는 연구 결과에서는 바이러스에 대한 고정관념을 바꿔놓는 과학적 사실들이 드러나고 있다. 바이러스가 숙주를 해치는 무자비한 `괴물`이 아니라 공존·공생하며 생명체의 진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해왔다는 것이다.

`종의 기원, 바이러스`는 생명의 진화에 얽힌 바이러스의 실체를 파헤친다. 제1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18년, `스페인 독감`이 지구촌 곳곳을 덮치면서 전 세계 인구 18억 명 중 약 30%인 6억 명을 감염시키고, 1억 명의 목숨을 빼앗아갔다. 가히 20세기 흑사병이라 부를 만한 인류 역사상 최악의 대재앙이었다. 스페인 독감은 물론 오늘날 불청객처럼 느닷없이 찾아와 우리를 공포에 몰아넣는 에이즈, 사스, 조류독감, 구제역, 에볼라 출혈열 등의 원인은 모두 바이러스이다.

하지만 이 책은 바이러스의 긍정적인 역할에 대해 집중한다. 우리의 상식대로라면, 엄마와 태아의 혈액형이 다를 경우 거부 반응 때문에 태아가 결코 생존할 수 없다. 그러나 모체의 혈액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는 태아는 아무런 문제 없이 쑥쑥 자란다. 바로 태반을 감싸고 있는 `합포체 영양막` 덕분이다. 이 영양막은 산소와 영양분은 통과시키지만, 절묘하게도 모체에서 침입하는 림프구 같은 이물질을 차단시켜 태아를 보호한다. 이토록 신비로운 생명 현상의 비밀을 간직한 영양막의 기원을 밝히는 논문은 지난 2000년 과학잡지 `네이처`에 게재됐다.

영양막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신사이틴(syncytin)이라는 단백질이 인간 게놈에 잠복해 있는 바이러스 유전자의 산물이라는 내용이다. 논문은 먼 옛날 바이러스가 인간의 조상에 감염돼 신사이틴을 제공했고, 지금도 인간의 몸속에 남아 태반을 형성하며 태아의 생명을 보호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바이러스가 숙주 생물과 공생하거나 진화의 방향에 영향을 주었다는 사례는 이 외에도 여럿 있다. 대표적인 예가 기생벌이다. 기생벌이 숙주 곤충의 유충에 알을 낳을 때, 체내에 있던 폴리드나 바이러스가 함께 주입된다. 이 바이러스는 숙주의 면역체계를 마비시켜 기생벌의 알이 무사히 자랄 수 있도록 돕는다. 폴리드나 바이러스가 기생벌을 돕는다면 숙주 곤충을 돕는 바이러스도 있다. 진딧물의 몸에는 기생벌의 알이 자라지 못하게 막는 공생 세균이 있다. 이 세균이 방어 작용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다름 아닌 `APSE 파지 바이러스`이다.

또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서는 인간의 게놈에서 유전자가 차지하는 영역이 약 1.5%로 아주 적은 반면 바이러스나 바이러스에서 유래했다고 여겨지는 전이인자 등은 증식을 거듭해 약 45%나 되는 영역을 차지한다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진 바 있다. 결과만 놓고 보면 인간 게놈의 주인이 과연 누구인가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다.

바이러스 발견의 역사부터 기본 구조,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꼼꼼히 추적하며 새로운 특징들을 소개한 이 책은 기존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바이러스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선사한다.박영문 기자

나카야시키 히토시 지음·김소연 옮김/ 영림카디널/ 192쪽/ 1만 3000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