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계·조출산율 전국 감소 가운데 2022년 대전서 유일 증가…지난해 다시 줄어
총인구 대비 청년층 비율도 2008년 36.2%에서 지난해 23.4%로 지속 감소
전입 사유 1위 '직업', 전출 1위는 '주택'…"청년세대 정책적 수요 파악 및 심층 분석 필요"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대전의 합계출산율·조출생률이 2022년 전국 유일의 증가를 보였으나, 재차 감소로 전환하며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또 출산율 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전체 인구 대비 청년층도 감소 추세다. 관련 대책 마련과 함께 정책 수립 전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지역 정주 환경과 지속 거주 의사, 정책 만족도 등에 대한 심층 분석 필요성이 강조된다.

2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022년 대전의 합계출산율은 0.84명으로, 전년 0.81명에서 0.03명 증가했다. 조출생률도 같은 기간 5.1명에서 5.3명으로 0.2명 늘며 전국에서 유일하게 합계출산율·조출생률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국에선 합계출산율이 3.8에서 3.7로 0.1명 감소, 조출생률은 5.1에서 4.9로 0.2명 줄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내며, 조출생률은 1년간 태어난 총 출생아 수를 연앙인구로 나눠 1000 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전국적인 합계출산율·조출생률 감소에도 대전에선 유일하게 상승 전환하며 '인구절벽' 현상 극복에 대한 기대감이 일었지만, 지난해 대전의 합계출산율·조출생률 모두 감소세로 전환하며 위기감이 발동하는 분위기다.

지난해 대전의 합계출산율은 0.79명으로 낮아졌으며, 조출생률도 5.3명에서 5.0명으로 줄었다.

합계출산율 등에 영향을 미치는 청년층 인구는 2008년 전체 대비 36.2%에서 2022년 29.7%로 급감했고, 지난해엔 23.4%로 주저앉았다.

이에 따라 청년 세대를 중심으로 한 출산 장려 정책 관련 수요 파악과 전·출입 사유 심층 분석, 거주 만족도 측정, 정주 지속 가능성 조사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대전세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인구통계 및 전입 사유 분석을 통한 2022년 대전 합계출산율 반등 원인 도출' 연구보고서를 보면 대전시의 출산장려 정책에서 우선 추진이 필요한 분야는 현금성 지원 확대가 39.4%로 가장 높았으며, 일자리 양립 지원제도 활성화가 21.5%로 뒤를 이었다. 대전시 출산 장려 정책의 향후 추진 필요 분야 역시 경제적 지원과 노동 조건(일·가정 양립)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2022년 지역간 순이동이 가장 많은 곳은 세종으로, 3618명이 대전에서 세종으로 순이동했다고 밝혔다. 서울이 2715명으로 세종 뒤를 이었으며, 충남 799명, 경기 434명 순으로 인구가 순유출됐다.

대전으로의 전입 사유로는 2022년 기준 주택, 가족, 직업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출 사유는 주택, 직업, 가족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로 보면 20-30대의 경우 전입 사유를 '직업'으로 선택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다.

주혜진 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청년 인구를 견인할 전·출입 여건이나 정주 환경 분석, 부동산 정책 등 타켓팅을 통한 심층 분석이 지역 인구 정책에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