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부산 혁신도시가 추구 모델…전략산업·지역인재 인프라 구축 중요
전문가 "궁극적 효과는 균형발전…인프라 갖추고 충청권 한목소리 내야"

대전일보DB
대전일보DB

대전 혁신도시 완성을 위해 지역의 지리·산업적 특성에 맞는 공공기관이 들어와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또 1차 공공기관 이전 당시 정주인구 증가, 산학연 연계 효과 등 성과가 미흡했던 점을 고려해 대전시가 관련 인프라 구축 등 대비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대전시는 현재 부산 혁신도시를 모델 삼아 공공기관 이전 계획을 추진 중이다.

부산은 2005년 '공공기관 지방 이전 계획'에 따라 혁신도시로 지정돼 현재까지 13개 기관 이전을 완료했다. 부산 혁신도시는 해양·수산(동삼지구), 금융(문현지구), 영화(센텀지구) 등 3개 분야로 특화됐다. 유입인구 정주율과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 내 생산(GRDP) 기여도가 높아 성공적인 혁신도시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시 관계자는 "부산이 바다와 접해있어 해양 쪽이 강하지 않나. 또 영화 촬영지나 국제영화제 같은 영화 콘텐츠 산업 중심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그 쪽을 더욱 특화시킨 것 같다"며 "대전도 가장 강점이라 할 수 있는 과학기술·철도교통 분야를 강화해 전략화시키고, 관련 기관을 유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전문가들은 지역 특성을 고려하는 것은 물론, 산·학·연 연계 효과를 낼 수 있는 공공기관 이전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전 공공기관과 지역 기업·연구기관·인력과 시너지가 발생해야, 경제적 효과는 물론 장기적으로 지역 경쟁력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육동일 전국 시·도 지방시대위원회 협의회장은 "부산의 경우 제2의 수도라 불릴 만큼 인구나 지역 생산량 등 각 지표에서 대전과 차이가 있다"며 "부산처럼 지역적 특성을 바탕으로 전략을 짜는 것은 충분히 필요한 과정이나, 대전은 더 나아가 이전 공공기관이 가져올 각종 이점들과 지역 내 인력풀, 기업 등을 적절히 섞어 시너지 효과를 낼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도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또 공공기관 이전 설득을 위한 각종 혜택과 교육·문화시설, 정주여건 등 인프라 마련도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는 이전 기관의 지역 내 안착을 위해서라도 필요한 부분이다.

실제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내놓은 KDB산업은행의 부산 이전도 노조의 강한 반발로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충북 혁신도시의 경우 한국소비자원 이전으로 활기를 띠는가 했으나 상업시설 등 핵심 인프라 부족으로 정주인구마저 빠져나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육 협의회장은 "1차 공공기관 이전 때와는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그 땐 정부가 지시하면 그대로 따라갔으나 이젠 반발 목소리를 낸다. 이들 기관에 대한 설득이 필요한 시대"라며 "이전을 완료한 기관들도 불만을 참지 않는다. 지역에 교육·문화·상업시설, 교통 여건 등 인프라가 부족하면 오지도 않고, 왔더라도 오래 머물지 않고 떠난다. 지자체와 정치권이 공공기관 이전에만 몰두하지 말고 지역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에도 신경 써야 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혁신도시 정책의 골자가 '수도권 과밀화 해소를 통한 국가 균형발전'인 점을 고려, 충청권이 메가시티 구축을 위해서라도 한 목소리를 내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여론도 높다.

지역 정치권 한 인사는 "충청권 내에서도 공공기관 이전에 대한 경쟁이 치열하다. 하지만 메가시티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 시점에서, 경쟁보다는 서로 협의와 조율 과정을 거쳐 한목소리를 내고, 공공기관 이전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