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주년 맞는 대덕특구, 국가 혁신성장 '아이콘'
지역과 미래 인류 행복한 삶 위한 과학기술 중요
대덕특구 재창조, 나아가 '도시공간 재창조' 고민

최태영 취재2팀장
최태영 취재2팀장

계묘년 새해 첫 날이 엊그제 같다. 어느새 첫 한 주도 저만큼에서 이 만큼 와 있다. 시간이 빠르게 흐른다는 건 누구나 갖는 느낌이겠거니. 그걸 느낄 때마다 다가오는 또 다른 생각은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가, 올바르게 가는가, 무슨 가치를 갖고 가는가 등이다.

그런 시간의 흐름을 도시 공간 차원에서 본다면, 대전에 있는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특구) 역시 시대적 여정을 느끼게 하는 곳 중 하나다. 대덕특구는 1973년 '대덕연구학원도시'로 지정되면서 출범했다. 올해 딱 50년 됐다. 나이로 치면 하늘의 이치를 안다는 지천명이다. 그럼 우리나라 혁신성장의 아이콘 역할을 한 대덕특구도 과학기술의 이치(?)를 통달할 나이가 된 셈인 건가.

50주년을 맞는 대덕특구 얘기를 꺼낸 건, 최근 겪은 에피소드 때문이다. 본지는 얼마 전 특구에 있는 국내 민간 대기업 연구소가 경기도 부천, 서울 마곡 등지로 이전한다는 내용을 '탈 대덕'이란 우려를 담아 보도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황당한 얘기를 접했다. 대전에 있는(?) 국내 완성차기업 산하 연구소가 부산으로 이전할 것이란 소식이었다. 발원지는 부산시 경제부시장 입에서 나왔다.

부산시에 확인 결과, 어이없는 대답이 돌아왔다. 대전에 연구소가 많아 이 자동차기업 연구소도 대전에 있는 줄 알았다는 해명이었다. 부시장이 콕 짚어 말한 이 연구소는 경기도 용인에 있었다. 사전에 정확한 확인작업을 하지 못한 관계자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묘한 감정이 교차했다. 각 지자체마다 기업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는 마당에 단순 해프닝이라고 여기기엔 아쉬움도 남았다.

대덕특구에는 정부출연연구소, 민간기업 연구소 등이 몰려 있다. 국내 최고의 연구시설과 인력이 지난 50년간 축적돼 왔다. 대전이 '과학기술의 요람', '4차산업특별시'라는 별칭을 얻은 배경이기도 하다.

또 다른 에피소드 하나. 최근 기상청 대전 이전이 1년 정도 늦어진다는 내용을 취재하는 과정에서였다. 그동안 잠잠했던 수도권 공공기관 지방이전 작업이 현 정부 들어 최근 수면 위로 부상했다. 그런 와중에 전남, 경남 등 일부 광역지자체가 대덕특구에 있는 항공우주연구원을 이전 희망 공공기관 목록에 올려 놓은 자료를 보고 놀랐다. 수도권도 아닌, 대덕특구에 있는 항우연을 유치 대상 목록에 올려놨다는 건 우주산업 육성을 외치는 현 정부의 정책기조에 따른 각 지자체간 과열 경쟁이 빚은 해프닝 일수도 있다고 우선 해석하고 싶다.

하지만, 대전 입장에서 보면 씁쓸하다 못해 부끄러움도 든다. 대덕특구는 50년이란 시간 속에서 수많은 성과를 냈다. 굳이 상장기업과 입주 기업 수, 지적재산권 보유 수 등 화려한 수치는 거론하지 않아도 될 만큼 차고 넘친다. 대덕특구는 한국이 선진국에 진입하는데 아주 큰 몫을 했다. 여기다 지난해 우주산업클러스터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로 지정됐다. 또 한 번 성장의 모멘텀이 마련됐다.

그럼에도, 정작 대덕특구의 중요성을 대전 공직사회나 시민들은 더 체감하지 못하는 것 같다. 우리도 이젠 선진국 반열에 올랐다는 사실 자체를 느끼지 못한 채 늘 개도국이란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처럼 말이다.

아직 합의된 의견은 없으나 대덕특구의 미래 모습은 어떨지, 기업환경이나 벤처기업들이 들어와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가고 있는지 궁금한 부분, 해결해야 할 난제들도 많다.

이젠 주도면밀하게 특구 재창조를 추진했으면 한다. 먼저 융복합개발을 위한 토지이용계획부터 다시 세워보자. 특구 내 노후화된 시설 등 인프라 개선을 위해 지구단위계획은 어떻게 세울 것이며, 언제 어디서부터 할 건지 등등. 혁신생태계를 어떻게 토지 이용에 녹여야 하는지부터 고민해야 한다.

대기업, 중소기업, 벤처·창업기업, 연구소, 대학교 간 관점의 차이는 뭔지, 이를 연구혁신 생태계와 어떻게 맞물려 조성할 수 있는지, 이런 원동력을 누가 어떻게 제공할지도 따져보자.

연구인력의 정주 여건 개선 필요성도 높다. 상업, 문화, 주거 등은 물론 주변 지역과의 연계활용 방안에 대해 꼼꼼히 살펴보자.

'대덕특구 만의 재창조'가 아닌, 보다 넓게 대전 전체의 '도시공간 재창조'가 필요해 보인다. 그래야 특구도, 지역경제도 공생발전할 수 있다. 큰 틀에서 대덕특구를 보고 성장시켜야 한다. 대전이 갖고 있는 강점은 분명히 있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