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입체→평면 돌연 전환 이후 건설방식 공론화
대전일보 첫 이슈 제기, 상의, 경제단체 등 동참… 재검토 촉구
대전시 과감한 결단 더해져 8년 여 만에 논란 매듭

2020년 6월 17일 대전·세종·충남 경제단체협의회 소속 12개 경제단체와 대전광역시개발위원회가 대전상공회의소 대회의실에서 장대교차로 입체화 건립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세종 길목의 장대교차로를 평면 방식이 아닌 입체 방식으로 만들어야 한다"며 한 목소리를 냈다. 사진=대전일보DB

16일 발표된 장대교차로의 입체화 방식 확정은 지역사회 내 수년 간의 노력과 대전시의 과감한 결단이 더해져 이뤄낸 뜻 깊은 결실이다. 고가에서 평면으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교차로 조성방식을 둘러싼 첨예한 갈등 속 '시민편익'과 '지역교통 대계'를 위한 대의를 받아들이며, 10년 가까이 이어진 논란을 매듭짓게 됐다.

대전 유성구 장대교차로 구간은 2014년 기본·실시설계 당시 입체화 방식으로 계획됐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과 대전시는 2020년 기준으로 내다봤을 때 해당 지역을 현재처럼 평면도로로 구성할 경우 극심한 교통 체증이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 유성IC 방향에서 장대삼거리로 고가도로를 만들어 직진차로를 조성하겠다고 결정했다. 세종과 유성을 잇는 BRT(간선급행버스체계) 연결사업의 핵심 구간으로서 BRT의 정시성 확보도 감안됐다.

대전지역 곳곳에 내걸린 장대교차로 입체교차로 촉구 현수막. 사진=장대교차로 입체화 건립 추진위원회 제공
대전지역 곳곳에 내걸린 장대교차로 입체교차로 촉구 현수막. 사진=장대교차로 입체화 건립 추진위원회 제공

하지만 2016년 10월 기획재정부가 총 사업비 증가 등을 문제 삼아 재검토를 요구하면서 제동이 걸렸다. 인근 지역에서 고가도로 주변 슬럼화와 땅값 하락, 도시미관 저해 등을 명분으로 민원을 제기한 것도 이때다. 이에 따라 9차례에 걸친 주민설명회가 열렸고 2017년 8월 기재부와 총사업비 조정 협의 끝에 장대교차로는 고가도로를 놓는 입체 방식에서 신호로 막히는 평면 형태로 확정되기에 이른다.

이후 지역사회에서는 평면방식으로 결정된 것을 두고 향후 교통 정체를 감당할 수 없을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대전일보가 이와 관련된 문제를 제기해온 것을 시작으로 지역사회, 경제단체 등이 동참하며 지역 주요 쟁점으로 공론화됐다.

2019년 7월 지역주민들은 장대네거리 입체교차로 건립추진위원회를 결성, 곳곳에 입체화를 촉구하는 현수막을 내걸었으며 서명운동, 탄원서 등을 더하며 여론이 점화됐다. 2020년 6월 대전·세종·충남 경제단체협의회 소속 12개 경제단체와 대전시개발위원회 등은 대전상공회의소에서 합동 기자회견을 열고 "장대교차로 인근은 현재 상습 정체구역으로 앞으로 세종시의 성장과 유성지역 개발 등 미래를 생각하면 교통량은 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현재 5%대인 공정률을 고려, 하루빨리 입체화 방식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이 같은 여론은 지역 내 상습정체구간인 박정자 삼거리, 방동 진출입로 등이 속속 입체화되고, 인근 대규모 인프라 조성으로 교통 여건이 변화되는 등 당위성이 더해졌고, 민선 8기 들어 이장우 대전시장의 '장대교차로 입체화' 공약에 따라 전면 재검토에 들어가게 됐다.

이날 장대교차로 건설방식이 입체화로 최종 결정됨에 따라 그동안 예견된 교통 대란에 따른 논란을 잠식, 시민 편의를 최우선하고 지역 교통 대계를 바로 잡는 대의를 지키게 됐다.

여기에 그동안 찬반 논란이 된 '남북방향 월드컵대로 고가(高架) 방식' 대신 '동서방향 현충원로 지하차도 건설방식'의 새로운 해법을 제시하면서 사회적 갈등은 물론 예산 부담 등 문제도 해소시키는 결과를 이뤄냈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