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진영 지방부 당진주재 부장
차진영 지방부 당진주재 부장

얼마 전 서울에 갈일이 생겼다. 편하게 가야지 하는 마음에 자동차를 몰고 출발했지만 목적지에 다가갈수록 후회가 되기 시작했다. 특히, 과천을 지나 우면산 터널부터. 정확히 기억은 나지 않지만 목적지 까지 5km 가량 남았을 때 네비게이션에 보이던 목적지까지 남은 시간이 50분이었다. 1분에 100m를 가는 수준이다. 지방에 살고 있는 나로서는 도저히 납득하기 어려웠다. `교통지옥` 이런 곳이 뭐가 좋다고 `IN 서울`을 못해서 안달인지.

반전이 일어났다. 농촌지역에 `교통지옥`이 있었다. 농어촌도시의 대부분의 버스운영형태는 민영이나 준공영형태로 운영된다. 버스회사는 경영적자를 줄이기 위해 비수익노선의 운행횟수를 줄이거나 아예 없애기도 한다. 시골에 사는 주민들은 1-2시간에 한 번 오는 버스를 기다려야 하거나 버스를 타러 수백m를 걸어 나가야 하는 수고를 반복해야 한다. 시골에서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들 대부분은 고령의 어르신들이거나 학생과 여성 등 교통약자가 대부분이다. 한국농정신문에서는 농(산)어촌지역을 "한산한 교통지옥"이라고 표현했다. 대도시처럼 콩나물 버스와 지옥철은 없지만 농어촌 대중교통 자체가 점점 사라지는 실상을 빗대어서 표현한 것이다.

2014년부터 각 지자체에서 신안군의 성공사례를 보고 버스공영제를 추진하고 있지만 안착한 곳은 찾아보기 힘들다.

당진시도 지난 연말 타당성용역을 바탕으로 버스공영제를 시행하려고 예산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지만 타당성 부족으로 첫 시도는 무산됐다. 그렇지만 다행스러운 것은 시의회가 버스공영제 시행 자체를 부정하지 않고 있다. 운영기관의 능력, 예산증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버스 완전공영제를 원하는데 버스업체는 버스 준공영제를 원한다. 왜냐하면 손실보상금을 지자체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버스손실금은 우리의 세금으로 지원하는데 이 손실보상금속에는 임직원의 월급과 일종의 최소 이익금이 포함되어 있다. 공영제를 시행하면 우리의 세금으로 기업의 이익금까지 지원해주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한산한 교통지옥"이 계속된다면 누가 그곳에서 살려 하겠는가. 차진영 지방부 당진주재 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