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만 공주대 그린스마트 건축공학과 교수
김진만 공주대 그린스마트 건축공학과 교수
지구온난화로 인한 폭염, 폭설, 태풍, 산불 등 이상기후 현상은 세계 어느 곳에서든 쉽게 확인 가능한 일상이 됐다. 국제사회는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진국에 의무를 부여하는 교토의정서 채택(1997년)에 이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모두 참여하는 파리협정을 2015년 채택했다. 우리나라는 2016년 11월 3일 파리협정을 비준했다. 파리협정의 목표는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2도보다 훨씬 아래(well below)로 유지하고 나아가 1.5도로 억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건물의 에너지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신축 건물과 기존 건물을 구분해 규제와 인센티브를 병행하는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신축 건물은 제로에너지건축물을 단계적으로 의무화해 2020년 공공건축물을 시작으로 2030년에는 모든 공공·민간 건물(연면적 500㎡ 이상)까지 보급을 확대해 나갈 것이다. 기존 건물은 세금 감면, 이자 비용 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해 그린리모델링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에너지 효율 개선 수단과 함께 에너지원의 저탄소화 또한 중요하다. 건물 외벽에 부착 가능한 태양광 패널은 건물 내 전기 공급의 탈탄소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지열, 수열, 미활용(발전폐열·소각폐열 등) 에너지 활용은 냉·난방용으로 사용되는 기존 화석연료 시스템의 저탄소화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건물 부문의 에너지 효율 개선 효과(Passive+Active)는 건물 부문 2050 비전 달성의 가장 핵심 수단이다.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건물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콘크리트를 보다 친환경적으로 활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별히 친환경적인 콘크리트를 지정하지 않는 관행에 따르고 있으므로 콘크리트는 거의 모두 탄소배출계수가 높은 보통 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해 만들어지고 있다. 콘크리트로부터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은 시멘트 크링커 함량이 낮은 혼합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혼합시멘트가 일반화되어 있지 않다. 혼합시멘트를 생산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실제로 시장에서는 활발히 유통되지 않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혼합시멘트와 같은 저탄소 시멘트 사용을 설계단계에 지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설계단계에 저탄소 시멘트 지정을 유인하기 위하여 각종 시방의 개선이 필요하고 LCA 방법에 의한 건물 탄소배출량 평가를 설계자들이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가 정보화 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재료의 낭비를 줄이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경험적 설계보다는 실제의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안전하게 그렇지만 과도하지 않게 지지하도록 하는 최적설계가 필요하다. 설계작업을 보다 정교하게 수행해야 하는 것이다.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콘크리트의 과도한 사용을 줄여야 한다. 기초부에서 줄기초가 사라지고 온통기초로 설계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는데 콘크리트 가격이 싼 것과 시공의 편리성이 함께 고려된 측면도 있기는 하지만 과도하게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도록 적정한 기초형식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또한 골조의 과설계는 빈번하게 벌어지는 일이다. 구조계산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보다 적은 양의 재료를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특히 작은 규모의 건축물에서 구조적 지식이 다소 부족하거나 경험이 적은 사람이 구조설계를 하면서 발생하는 과설계를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큰 규모의 구조물은 전문적 지식이 있는 구조기술사에 의해 설계되므로 과설계 확률이 낮지만 이 경우에도 구조계산을 보다 최적화하여 재료의 낭비가 적어지도록 해야 한다. 설계단계에서는 건물의 형태, 구조, 재료, 시공법 등 대부분이 것이 결정된다. 그러므로 설계의 정밀도가 향상되어야만 구조물의 환경영향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설계단에게서 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과 함께 환경영향을 줄이기 위한 노력도 열심히 탐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다.

김진만 공주대 그린스마트 건축공학과 교수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