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와 15개 시군이 어제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위한 공동협약`을 체결했다. 충남도는 지난 6월 전문가 토론회 개최를 시발로 지방은행 설립 신호탄을 쏘아 올렸고 한달 뒤 지난 7월에는 지방은행 설립 추진연구지원단을 발족시켜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토록 했다. 이런 핵심 뼈대를 갖춘 가운데 어제 공주에서 열린 충남 지방정부회의에서 15개 시군도 지방은행 설립 운동 합류를 대내외에 천명했다. 충청권 지자체들이 선봉에 나선 것이고 이런 추진력에 비추어 충남의 최대 결사체인 범도민추진단의 이른 출범에 대한 기대감도 높다.

충청권 지방은행 부재로 말미암아 지역민들이 겪고 있는 유무형의 불이익은 관련 지표가 증명한다. 대표적으로 지역자금의 역외유출이 꼽힌다. 충남만 해도 2019년 통계청 지역소득(잠정) 통계에 따르면 마이너스 25조 원(유출률 21.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부문 전국 1위 지역에 해당하며 충북도 사정이 좋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경제활동이나 소득행위는 충청권에서 하는데 이 때 창출된 재화가 지역에서 선순환되지 않으면 지역경제 기초체력을 키우지 못하는 것에 비유된다. 대기업 생산공장 유치 실적이 도드라지고 공공기관 종사자수가 늘어나도, 영업익을 수도권 본사가 빨아들이고 게다가 직장과 주거지가 다른 직주불일치 현상까지 더해지는 상황이 지속되면 그 지역의 내상도 깊어진다. IMF 구제금융 사태 이후 지방은행이 사라진 이후 충청권이 그런 현실에 직면해있음은 두말이 필요치 않다. 그런 사이 주요 금융지주사 외에도 타지역 연고의 지방은행들까지 영업점, 지점을 열고 진출해 있는 게 충청권이다. 이제는 지방은행 재탄생을 통해 이런 기울어진 구조를 극복할 때가 됐다. 문제는 설립 요건 충족인데 지방은행 설립 필수 자본금의 경우 적절히 대주주를 발굴해 내는 한편, 지역민 소액 주주 투자를 유도하면 해결 가능한 영역으로 이해된다.

내년 대선과 뒤이은 지방선거 정국이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의 최대 갈림길이다. 특히 각 정당과 유력 대선주자들이 핵심 공약으로 채택토록 지역 여론을 전략적으로 투사할 수 있어야 한다. 신임 금융위원장도 `선제적 대응 차원`에서 검토 의견을 밝힌 바 있다. 잘 대비하면 `예비인가`를 받는 날이 앞당겨질 수도 있는 노릇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