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어제 내년 대선 일정에 맞춰 발굴한 16개 공약 과제를 선보였다. 이번에 발표된 공약 과제들은 5개 자치구, 대전세종연구원 등을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작업했다고 한다. 이에 비추어 대전시는 뽑아낼 수 있는 최대치의 결과물을 도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우선 16개 사업을 엄선해 추린 것은 대체로 무난해 보인다. 또 이를 과학 분야, 초광역 분야, 대전특화 분야 등 3개 분야로 구분해 놓아 알아보기 쉽도록 한 점도 눈에 띈다. 허태정 시장도 "과학으로 잘사는 미래도시로의 대전 도약에 역점을 두고 선정된 사업들"이라며 비교적 후한 자체 평가를 내놓았다.

허 시장 평가가 아니어도 전체 공약 과제 발굴 작업량의 경우 적정 선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선 공약 과제의 특성상 주문 양이 많으면 그에 따른 공약 채택이 불발되는 실패율도 높아지기 마련이다. 주목도 면에서도 유리하다고 보기 어렵다. 엇비슷한 공약 과제들이 죽 나열되는 상황에서는 다함께 돋보이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16개 아이템이면 부족하지 않을 듯하다. 대전의 브랜드 파워인 `과학` 도시 콘셉트를 앞세운 뒤 초광역, 지역특화 두 기둥을 배치해 각각 성격에 맞는 핵심 과제들 치우치지 않게 배치함으로써 가독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케 한다. 특히 대전에 대한 `과학수도` 지정을 요청한 것은 공세적인 제안으로 이해된다. 법제화 기반 마련을 전제로 깔았지만, 전략적 측면에서 가닥을 잘 잡은 것으로 보인다. `대전과 과학`은 동전의 양면과 같은 관계인 만큼 과학 도시를 강화할 수 있는 방편이라면 어떤 것도 주저할 이유가 없다. 과학수도만 해도 법정 개념이 아닐지라도 그렇게 치고 들어가야 과학 도시 대전의 위상이 더 공고해진다. 이 과학 경쟁력 지표에서 압도하면 과학기술 관련 정책 경쟁에서 확실한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정부 공모사업 실패로 생채기를 입은 사례가 없지 않지만 그럼에도 대전은 여전히 과학기술 분야 최강자 도시임은 누구도 부정하지 못한다 할 것이다.

대선 공약 과제 세팅이 일단락된 만큼 앞으로 치중해야 할 부분은 마케팅 혹은 판촉 활동이다. 각당 대선후보들의 구매욕구를 충분히 자극시킬 일이며 그래야 대선 호황 국면에 올라탈 수 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