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원기 서산시의회 의원
안원기 서산시의회 의원
지난 7월 6일 충북지역 인삼농가들이 정부세종청사 앞에서 `가격 폭락 대책을 위한 인삼농가 결의대회`를 열고, 위기에 놓인 인삼산업에 대한 정부의 대책 마련을 강력히 요구했다.

1970년대 후반까지 세계 인삼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던 고려인삼의 서글픈 현실을 보여주는 한 장면이다. 무슨 이유에서 농부들이 삽과 호미 대신 시뻘건 현수막을 들고 정부청사 앞에서 시위를 해야 했을까?

농림축산식품부의 `2018년 인삼통계자료집`에 따르면 2018년 인삼 재배농가는 2만 556호로 2010년 2만 3857호 보다 13.8%, 재배면적은 1만 5452ha로 2010년 1만 9010ha 보다 18.7%, 생산량도 2만 3265t으로 2010년 2만 6944t 보다 13.6%정도 줄었다. 반면에 수출량은 7512t으로 2010년 3712t 보다 102.3%가 늘었다.

엊그제 8월 15일 기준 금산수삼센터에서 거래된 가격동향을 보면, 수삼 1채( 8-10뿌리) 750g이 3만 원으로 지난해 같은 시기 3만 7400원 보다 24.6% 낮게 거래되고 있다.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줄고 수출은 늘었는데 가격은 오히려 크게 떨어진 것이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한 것일까?

내부적으로 그 원인을 살펴보면 지속적인 재고 증가와 소비침체에서 기인한 구매력의 저하다. 여기에 수삼판매에 있어 많은 부분을 차지하던 인삼축제가 코로나19 등으로 중단된 것 또한 가격 폭락의 원인 중 하나로 꼽을 수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이 수삼에서 홍삼으로 옮겨간 것이 가장 큰 요인이라 할 만 하다.

이제는 수삼을 사와서 달이거나 꿀에 절여서 먹으려 하지 않는다. 손이 많이 가고 번거롭기 때문이다. 깔끔하게 개별 포장이 되어 있어서 언제 어디서나 쉽고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그것도 인삼보다는 여러 모로 효능이 좋은 것으로 알려진 홍삼제품을 원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수요 변화에 적합한 맞춤형 홍삼제품을 세분화해서 개발해야 할 것이다. 소비 지출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MZ세대 등 젊은 세대를 비롯해 연령별 맞춤형 전략 개발도 필요하다.

정부의 역할 역시 중요하다. `인삼산업법 제4조(경작신고)`를 보면 경작신고가 의무조항이 아닌 임의조항으로 돼 있다. 이로 인해 전체 인삼 재배량의 약 30% 정도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인삼 생산량의 수급조절이 실패할 수밖에 없는 근본적인 이유가 여기 있다.

경작신고를 의무제로 강행규정화 한다면 2015년에 출범했지만 아직도 무임승차 논란이 많은 `인삼자조금`의 거출규모가 확대되고 집행도 원활해져 인삼산업 부흥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시대 `거상(巨商)` 임상옥(林尙沃·1779-1855)은 신분의 한계를 극복하고 종3품 부사까지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하지만 그가 지금까지도 회자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사람을 중시했던 경영철학과 콧대 높은 중국 상인들을 상대로 우리 홍삼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며 그들의 코를 납작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 인삼산업은 인삼가격의 하락과 외국인 노동자들의 입국이 제한되면서 인건비가 상승하고 자재가격도 많이 올라 이중고 삼중고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인삼의 종주국인 우리 대한민국 인삼산업이 정부와 국회의 지원과 협조를 바탕으로 더욱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과 맞춤형 상품개발 등을 통해 다시 한 번 세계에 우뚝 서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한 발짝 더 나아가 우리 국민들도 어려운 인삼재배 농가들의 마음을 십분 이해해 코로나19 시대 면역력을 높일 수 있는 우리 인삼을 많이 애용해 주길 바란다. 안원기 서산시의회 의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