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단체 최초 도시재생 예측모델 기반 빅데이터 정책지원 시스템 오픈

대전지역이 전국 자치단체 중 최초로 빅데이터-AI 알고리즘을 활용한 도시재생 예측모델을 개발 완료하고 1일부터 웹 서비스 기능을 개선한 `빅데이터 정책 지원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전시에 따르면 도시재생 예측모델은 시 전지역을 9026개의 분석격자로 나누고, 인구·경제·주택건축 등 6개 지수별로 쇠퇴 정도를 1~10등급으로 나눴다. 공직자들이 도시 쇠퇴 정도를 한눈에 파악,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구현한 시스템이다.

이 서비스가 정착되면 데이터 기반의 도시재생 지수화 및 진단을 통해 도시재생 정책수립 관련 이해관계자와 지역주민에게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또한, 과학행정을 활성화해 정책의 품질을 높이고 행정 신뢰도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관측된다.

예측모델은 범죄·화재 등 안전사고 및 각종 질병에 대해 사전에 위험요소를 예측해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것은 물론 사회현안 등을 해결하기 위해 대안별 효과성을 비교분석 할 수 있는 기능도 갖췄다.

아울러, 대전시는 데이터 기반 행정 활성화와 데이터 생태계 조성을 위해 공공데이터 발굴을 지속적으로 실천하고, 민간 데이터를 가공·결합해 과학적 정책결정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 시민들에게는 양질의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개방한다는 방침이다.

대전시는 `대전형 데이터 허브 기반 조성`을 위해 2018년부터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을 핵심 사업으로 선정, 추진해오고 있다. 지난 2019년 복지분야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도시, 안전, 환경, 교통 등 5개 분야 빅데이터 구축을 완료한 상태다.

특히 2020년 과기부 공모사업에 선정돼 국비 10억원을 확보하는 등 사업에 탄력을 받게 되면서 당초 2026년 예정이었던 11개 분야 빅데이터 구축을 2022년까지 조기 마무리 한다는 계획이다.

대전시 한 관계자는 "도시재생 예측모델을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 정책지원 플랫폼은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행정 구현을 앞당기는 촉매제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시스템과 데이터 활용체계, 인프라 등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여 민간기업 및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데이터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우경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우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