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역세권 종합 개발

대전역세권 개발 토지이용계획도..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역세권 개발 토지이용계획도.. 사진=대전시 제공
다양한 수요가 집중된 대전역세권 일원 개발 계획이 하나로 통합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향후 입체적 도시 공간 조성과 스마트도시 특화 단지 등 다양한 개발 구상 현실화가 과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최근 대전세종연구원이 내놓은 `대전역 서광장 기능회복 방안 연구` 자료를 보면 대전역 주변은 복합2구역 개발사업과 시가지형 도시재생사업 등이 추진될 경우 현재보다 많은 상주·유동 인구가 유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복합2구역, 도시재생뉴딜, 혁신도시 등 각종 사업이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돼 개발 효과 분산 등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시는 대전역 주변(원동-대동-성남-삼성4거리) 46만 8653㎡에 대한 종합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 용역에 들어가기로 했다.

종합기본계획은 개별 사업 효과와 역세권 전체의 효율성을 꾀하기 위해 만들어진다. 27억 2000만 원이 투입되는 이번 연구용역은 대전역세권 복합2구역 개발 사업을 포함해 도시재생뉴딜 사업, 혁신도시·도심융합특구 지역 등을 대상으로 한다.

역세권 복합2구역 개발은 당초 25% 미만이던 주거시설이 50% 등으로 바뀌었다. 상업복합시설과 복합환승센터(대전시, 코레일 공동개발) 등이 들어서는 것으로 계획됐다.

도시재생뉴딜사업은 동구 정동 일원 19만 7310㎡를 대상으로 오는 2025년까지 공공주택 건립, 거점복합플랫폼, 특화거리조성, 창업·점포 특성화 컨설팅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지난해 10월 역세권을 중심으로 지정된 혁신도시 역시 새로운 개발 계획 수립 필요성으로 꼽힌다. 판교 제2테크노밸리처럼 도심에 기업과 인재가 모일 수 있도록 고밀도 혁신공간을 조성하는 사업인 도심융합특구 조성사업도 연구 용역 실시 이유 중 하나다.

도심융합특구는 도심 내 인접한 대전역 일원과 충남도청 이전지 일원을 연계한 124만㎡ 규모다. 이중 대전역 일원 103만㎡에는 대전 혁신도시 예정지 모두 포함되며, 일부 20만㎡ 규모의 지역은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추진 중이다.

대전시 한 관계자는 "대전역세권을 중심으로 각 재생·개발 사업이 이뤄지는 것을 감안해 전체 활용 방안을 포함한 종합기본계획을 만들겠다는 구상"이라며 "개별 사업은 내실을 기하면서 큰 틀의 효율적 개발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스마트도시 특화단지, 입체적 도시 공간 구성, 특별계획구역 등 고밀도 계획을 짜, 사업 중복성을 최소화 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시는 오는 6월 관련 예산을 확보한 후 8월부터 경쟁력 강화 차원의 국제공모 관리 용역에 들어간다는 구상이다. 내년 5월 실시되는 본 용역은 2023년 4월 결과가 도출될 예정이다. 김용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용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