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임교사에게 전적으로 달린 일반학급 다문화 초등생 학습
통·번역 학습보조요원 등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 실효성 의문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로 학습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기초학력 결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초등학교 때 언어 미숙으로 기초학력을 다지지 못한 학생들이 중·고등학교에 올라가서도 적응을 하지 못해 학업에 손을 놓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교육당국에서도 다각도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지는 미지수다.

대전시교육청은 내달부터 오는 12월까지 중도입국·외국인 가정 등 한국어 소통이 어려운 학생 대상으로 학습보조요원을 지원, 교과학습과 방과 후 보충학습 진행 시 학생의 모국어 통역과 가정통신문의 번역을 지원한다. 이 사업을 통해 다문화학생의 기초학력과 학교 적응력을 강화하고 앞으로 발생할 학업중단을 막겠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다문화 학생을 지도하는 교사가 학교에 선뜻 사업을 신청하기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인력이 교실에 투입돼 학생 옆에서 통·번역을 진행하는 것도 교사에겐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다문화 학생을 지도중인 한 담임교사는 "지원이 필요해도 평교사가 학교에 직접 인력을 요청하기 어렵고 현장에선 해당 학생을 담임에게 전적으로 맡기는 분위기"라며 "방과 후 수업은 몰라도 교과 수업 때 보조요원이 학생 옆에서 소리를 내 통역한다면 학급 분위기도 망가지고 학생들도 불편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습 지원에 앞서 기초학력을 진단하는 방법조차 전무해 교사들이 애를 먹고 있다. 서구의 한 교사는 "수학을 잘하는 다문화가정 학생이 한국어로 된 문제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느껴 이번 진단평가에서 한 자리 점수가 나오고 영어가 모국어인데도 문제를 잘못 해석해 틀리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며 "수행평가를 진행할 때엔 문제를 번역해줘야만 하는 실정"이라고 호소했다.

지역 내 다문화가정 학생이 3000명을 넘어 선 가운데 일각에선 다문화교육 정책학교를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해 11월 기준 한국어학급을 운영하는 초등학교는 총 8개교, 16학급으로 258명의 다문화학생을 수용하는데 그쳤다.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의 한 교감은 "한국어학급을 운영한 결과, 담임교사가 학생 개개인의 한국어능력과 교과 지식을 파악하기 쉬워 효과적인 학생지도 방안으로 분석됐다"며 "다문화학생들의 기초학력은 한국어 습득이 1차적으로 승패를 좌우하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을 중점적으로 다룰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정의 기자·조은솔 수습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