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0.6%를 기록했다. 지난해 10월부터 4개월 연속 0%대 오름세로, 이 정도면 상당히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내릴 수 있다. 하지만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물가는 여전히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서민경제의 주름살이 깊어지는 상황에서 장바구니 물가가 들썩이면서 서민생활을 압박하고 있는 데다 전체 물가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서민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장바구니 물가를 잡지 못하면 다른 물가가 크게 떨어져도 체감이 안 된다는 점에서 당국의 세심한 물가관리가 요구된다 하겠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소비자 물가 동향에 따르면 생활물가지수는 0.3% 올랐고, 신선식품지수는 9.2% 상승했다. 신선식품지수는 역대 최장기 장마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8월부터 5개월간 두 자릿수 오름세를 유지하다가 1월 들어 다소 주춤해졌지만 상승세는 여전하다. 여기에 체감물가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농축수산물도 10.0%나 올랐다. 식료품 가격이 너무 올라 장보기가 무섭다는 비명이 여기저기서 쏟아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품목별로는 서민밥상에 자주 오르는 돼지고기 18.0%, 닭고기 7.8%, 달걀 15.8% 등의 상승세가 눈에 띈다. 계절적 영향도 있겠지만 신선과실은 20.5%나 대폭 뛰어올랐다. 이런 농수축산물과 신선식품 물가 추이는 식자재 등에도 영향을 미처 서비스 물가를 압박할 수도 있다. 더욱이 설 명절을 맞아 제수용품이나 선물 등으로 농축수산물 수요가 증가하면서 상승세는 더욱 확대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코로나19 장기화 국면에서 0%대의 저물가 기조는 다행한 일이지만 서민들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는 먹거리와 서비스요금 등이 상승세에 있다는 점은 걱정이다. 농축산물의 경우 지난해 장마와 태풍, 최근 조류인플루엔자(AI)와 한파 등에 따른 오름세여서 당국의 개입 여부에 한계가 있지만 수급조절 등에 심혈을 기울여 파장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밥상물가를 방치해 전체 물가에 영향을 주면 서민 생활뿐만 아니라 정부의 경제운용에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부는 물가관리의 최우선 목표를 서민생활 안정에 두고 후속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