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국책연구단지에 소재한 NST(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공석 사태가 갈수록 태산이다. 지난해 10월 말 퇴임한 전임 이사장의 후임자를 3개월이 다 되도록 확정하지 못한 채 겉도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현실을 말한다. 과학기술 분야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지원·육성하는 데가 NST다. 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와 쌍벽을 이루는 컨트롤타워라고 보면 맞는다. 그런 연구회가 이사장 부재로 리더십 공백 상황이 길어지고 있다. 이는 정상이 아니라고 봐야 한다. 국가 과학기술정책은 물론, 연구개발 역량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게 자명하기 때문이다.

NST 이사장 추천위 가동이 늦은 사실이 우선 지적된다. 전임자가 퇴임한 뒤 한달이 지나서야 상급 부처인 과기부에 추천할 3인을 선정하는 등 지각 출발했다. 그런데다 이들 3인을 놓고 여전히 저울질중에 있는지 오리무중인 상태다. 게다가 3인 모두에 대해 공공연구노조측에서는 어제 부정적인 평가를 내린 것으로 돼 있다. 수장 적합도, 역량, 자질 등 요소에서 공공연구노조로부터 환영받지 못하고 있다면 NST 이사장 추천위와 과기부 입장에선 적잖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을 듯하다. 갈 길을 재촉해야 하는 마당에 이래저래 갈등 요인이 잠복돼 있으니 갑갑하기 짝이 없는 형국이다. 일을 어렵게 만든 책임은 결국 정부 당국에게 돌아간다. 후임 이사장 제청 일정을 서두르는 한편, 이사장 추천위 구성 단계에서 조직 내외부를 망라해 폭 넓은 의견 청취 및 평판을 수렴했더라면 전체 스텝의 방향성이 꼬이는 지경에 이르진 않았을 것이다. NST 리더십 승계가 매끄럽게 진행되지 않고 있는 터에 산하 출연연들에서도 유사한 상황이 재현될지 모른다는 우려감이 증폭되고 있다. 이달중 항공우주연구원 등 줄잡아 6곳 기관장들의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는데 제대로 기관장 인수인계가 될는지 의문이 드는 게 사실이다.

과학기술계에서 목도되고 있는 작금의 상황은 발등의 불인 형국이다. 4차 산업 혁명 추동에 앞장서야 할 NST와 함께 일부 출연연의 리더십 공백은 나라의 과학기술 경쟁력에 하등 이득이 안 되기 때문이다. 기관 운영 효율성도 문제고 구성원들 사기 진작 면에서도 악재다. 늦은 것은 도리 없으며 빨리 안정궤도에 진입시켜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