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소재 대학들이 수시 미충원에 이어 정시 경쟁률까지 급락하면서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고 한다. 엊그제 정시 원서 마감 결과 국립대인 충남대와 한밭대의 평균 경쟁률은 3.30대1과 2.74대1을 기록했고 사립대인 한남대는 2.82대 1, 대전대 3.30대1, 목원대 2.12대 1, 배재대 1.54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이같은 경쟁률은 국립·사립 모두 지난해에 비해 크게 떨어진 것이다. 정시의 경우 한 명의 수험생이 가·나·다군 3곳에 원서를 내고 중복 합격하면 최종 한 곳을 선택하는 관계로 경쟁률이 3대 1이 되지 않으면 미달로 간주된다. 이를 감안하면 대부분의 대학이 미달사태에 직면한 셈이다.

지방대의 경쟁률 하락은 학령인구가 감소하고 서울 등 수도권 대학 선호 현상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수능 응시자는 전년에 비해 5만 명이나 감소했다. 학령인구의 감소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어서 불가피한 측면이 없지 않다. 문제는 서울 등 수도권 대학 선호도가 점차 심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서울과 수도권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영역의 중심으로 인식되면서 서울 등 수도권 대학으로 진학하려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 대학 평균 경쟁률이 서울 5.1대 1, 수도권 4.8대 1인 반면 지방은 2.7대 1에 불과하다는 사실은 지방대가 처한 현실을 잘 말해준다.

대학 정원 미달은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특히 학교 재정의 대부분을 등록금에 의존하는 지방 사립대는 존립을 걱정해야 할 처지다. 등록금 줄어들면 교수 채용이나 실험 실습 장비 구입 등 교육 여건을 개선이 어려워진다. 이는 곧 대학의 질이 떨어지고 학생들의 피해로 이어진다. 뿐만 아니라 정원이 줄어들면 지역경제에도 타격을 미친다. 이런 악순환이 거듭되면 머지않아 지방대 소멸이 현실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작금의 지방대 위기는 자구노력만으로 해결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렀다. 그렇다면 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내놔야 한다. 그동안 정부가 여러 차례 지방대 육성책을 내놓았지만 효과는 미미했다. 지방대 위기의 근본 원인이 수도권 집중에 기인한다는 점을 애써 외면한 결과가 아닌가 싶다. 문재인 정부가 적극 추진하는 국가균형발전과 연계해 지방대의 경쟁력을 확보할 장기적 대책을 주문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