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들어 생활물가 오름세가 심상찮은 모양이다. 서민들의 식탁을 책임지는 닭과 계란에 이어 콩나물과 두부, 채소 등 농축수산물과 신선식품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인 인상러시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지난해 연이은 장마·태풍으로 인한 작황 부진과 최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 여파와 한파에 따른 수급 문제까지 겹친 것이 원인이라고 하지만 가뜩이나 코로나19로 서민경제가 잔뜩 움츠러든 상황이어서 전체 물가상승으로 이어질까 걱정이 앞선다. 벌써 식음료와 가공식품, 그리고 석유류의 오름세도 가세하는 형국인 만큼 물가당국의 면밀한 분석과 관리가 요구된다 하겠다.

지난해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에 비해 0.5% 상승하는데 그쳤다. 이는 무엇보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된 데다 여러 정책적 요인이 복합됐기 때문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생산과 투자, 고용과 내수부진 등 각종 경제지표가 악순환을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물가만이라도 안정적으로 관리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하지만 연초부터 농축산물과 석유류, 특히 장바구니 물가의 오름세가 지속되면 당장 서민경제의 압박이 오고 전체 물가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도 신선식품지수가 9.0%, 농축수산물수가 6.7% 오르면서 전체 물가 상승을 이끌었던 점을 유념하기 바란다.

올해도 코로나19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대체적인 경기 전망은 밝지 못하다. 이런 국면에서 물가 오름세가 소비 위축을 부르고 투자와 생산 부진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낳게 될지 우려가 앞선다. 또 장기화된 경기침체와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인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폐업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물가지수마저 급등하면 사회문제로 등장할 수도 있다. 소득이 줄거나 제자리라고 해서 먹을거리 등 생필품을 줄일 수는 없는 노릇이고 보면 체감물가를 잡는 일이 선행돼야 할 것이다.

한 달 남짓 있으면 설 명절을 맞는다. 예전같이 귀성은 줄어드는 대신 선물을 위한 농축수산물의 대체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한다. 물가는 수요공급의 원칙에 따라 연동되기에 당국이 통제하는데 한계가 있기 마련이지만 성수품 등의 수급 조절과 가격 안정에 최선을 다하기 바란다. 아울러 지자체 등도 담합이나 원산지 표시 위반 등이 파고들 틈이 없도록 관리에 나섰으면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