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충남도청사 활용방안 연구 용역비` 3억 5000만원이 정부예산에 포함된 것과 관련해 대전시의 `국립디지털미술관` 유치도 탄력이 붙는 모양새다. 대전시의 노력 여하에 따라 내년부터 진행될 문화체육관광부의 충남도청사 활용방안 연구 용역에 디지털미술관이 포함될 가능성이 열렸기 때문이다. 문체부가 국립디지털미술관 조성을 확정한 상태는 아니지만 첨단과학과 미술의 만남, 구도심 활성화와 문화예술의 진흥이란 대전의 자산과 명분을 활용하면 접근이 용이할 것이다. 6대 광역시 가운데 대전시만 유독 문화예술분야 국가기관이 하나도 없고, 문화 불모지란 오명에 시달리고 있음을 감안하면 국립디지털미술관 유치는 당위라고 할 수 있겠다.

대전시는 진작부터 옛 충남도청사에 국립현대미술관 분관 유치 등을 겨냥했지만 최근 디지털미술관 조성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른 환경 변화와 미술 감상 트렌드의 변화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일각에서는 디지털미술관의 미래에 부정적 시선도 없지 않지만 코로나로 인한 언택트 환경에서는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다. 개관 후 첫 온라인으로 개막된 지난 4월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의 `미술관에書-한국 근현대 서예전`은 전시투어 90분 동안 1만4000여명이 시청했고 20일간 5만6000회의 조회를 기록했다. 서울관의 국제동시대미술기획전 `수평의축`도 전시를 기획한 학예사와 3000여명의 접속자가 인스타그램 라이브를 통해 소통하는 등 온라인 미술관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런 차원에서 보면 대전시의 디지털미술관 유치 전략은 시의적절하고 타당성도 충분하다. 다만 대전시가 자체 구상하고 있는 조성 규모와 문체부의 이해가 맞아떨어질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다. 옛 도청사가 대전시의 구상대로 국립디지털미술관으로 전환되면 더 이상 바랄게 없지만 이게 무산되면 시가 자체재원을 들여 도청사를 개발하고 운영해야 한다. 잠정 800억원대에 이르는 조성비용은 물론 디지털 플랫폼과 콘텐츠 구축, 저작권 등 막대한 운영비용도 부담이 아닐 수 없다. 문체부는 새로운 개념의 과학·예술 융합콘텐츠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측면에서 이 문제를 접근하길 바란다. 대전시도 단단한 논리와 명분으로 국립디지털미술관 유치에 나서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