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계 국회의원
박범계 국회의원
대전은 지난해 말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되었다. 규제자유특구는 혁신기술·신사업 등 지역혁신 성장사업이나 지역전략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일정기간 규제를 대폭 완화해주는 `규제특례` 지역으로 지난해 7월 1차로 7곳을 지정한 이후 11월 2차로 7곳, 올해 7월 3차로 7곳까지, 전국에서 총 21곳이 지정된 상태다.

바이오메디컬 분야는 생명을 다루는 연구분야인 만큼 엄격한 윤리기준이 적용되고 있고, 황우석 사태로 인해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에 대한 규제의 장벽은 높기만 하다. 그러나 바이오메디컬 분야가 미래사회를 선도할 핵심분야가 될 것임은 분명하기에 이러한 규제를 최소화하면서도 신기술이 개발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필요가 있다.

바이오메디컬 분야에서는 새로운 의료기기 기술이 개발되기까지 허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드는데 2-3년 걸리고 인허가를 받는 데에만 다시 1년 이상 걸리는 현실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

대전은 카이스트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등 바이오 관련 연구기관들이 있어서 우수한 과학기술 역량을 기반으로 원천기술확보에 유리하고, 300여 개에 이르는 바이오 벤처기업들의 기술력과 시너지 효과로 진단키트와 장비 제조, 유전자 추출, 증폭시약까지 개발할 수 있는 클러스터 환경을 조성했다.

이처럼 코로나19의 위기에도 대전의 바이오 기업들이 이룬 성과는 대덕특구에 집적된 혁신기술과 우수한 인재에 기반한 기초연구 역량과 더불어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적 지원이 복합적으로 이룬 성과이다. 특히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 지정은 기업에 연구·개발과 신제품 생산에 큰 동기부여를 제공하였다.

규제 자유특구 내 바이오기업들은 연구·개발 및 임상시험에 필요한 검체를 충남대병원을 비롯한 충청권병원간 컨소시엄을 통해 수월하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고, 체외진단기기의 신의료기술평가 유예 절차 간소화 특례를 적용받는 등 개발기간 단축과 조기 상용화, 그리고 시장 선점을 통한 경쟁력 확보로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세계 각국에 진단키트를 빠르게 수출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대전은 코로나19 사태를 맞이하여 K바이오를 선도하는 희망의 땅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대전의 바이오 기업들(솔젠트, 수젠텍, 지노믹트리, 바이오니아, 시선바이오머티리얼스, 진시스템, 티엔에스)이 진단키트 등을 신속히 제작·공급하여 국내는 물론 국외에도 공급해 우리 국민의 자긍심을 높임과 동시에 K바이오의 성공 신화를 쓰고 있다.

또한 우리 지역 진단기업의 8월 말 수출액은 1400여 억 원으로 작년 동기대비 28배나 증가하였고, 일자리 공급과 신규 투자유치 등으로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역할도 하고 있다.

앞으로 코로나19 이후 신종감염병의 발생 주기가 짧아지면서 세계적 팬데믹에 대한 우려가 심화됨으로써 백신·치료제 개발기술의 보유 여부가 국가 바이오산업 역량을 가늠하는 척도가 될 전망이다. 따라서 이에 따른 감염병 대응 치료제·백신의 조속한 연구·개발 및 조기 상용화를 위해 필수시설인 기업전용 고위험병원체 공용 취급(BL3) 및 연구시설의 구축도 조속히 갖추어야 한다.

바이오메디컬 산업은 대표적인 규제 산업이다. 앞으로 다가올 바이오 경제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전략적인 육성정책을 추진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규제를 줄여나가야 한다. 또한 오송 바이오산업단지와 적절한 협업을 위한 역할분담과 아직은 서울과 수도권의 연구·개발 수준에 못 미치는 현실도 극복해야 한다. 더불어 바이오메디컬 규제 자유특구를 테스트베드 삼아 조화로운 규제로 연구·개발하기 좋은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가까운 미래에는 대전시가 더 많은 고부가가치 바이오메디컬 관련 해외 연구시설과 기업들을 유치해서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핵심 클러스터로 우뚝 서는 그날을 기대해 본다.

박범계 국회의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