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공모 4차례 무산 공영개발 솔솔… 김재혁 신임사장 '민관공동 개발' 언급

유성광역복합환승센터 조감도. 사진=대전시 제공
유성광역복합환승센터 조감도.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지역 최대 현안으로 꼽히는 유성복합터미널 조성방식을 둘러싸고 논란이 분분하다. 지난 10년 동안 네 차례에 걸쳐 추진된 민간사업자 공모가 모두 무산된 여파다. 이번에 사업방식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지만, 민간자본에 의한 개발 외에 상정 가능한 대안이 불과 세 가지로 제한적이어서 대전시가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먼저 공영개발 카드다. 대전시 재정을 투입하는 것으로 민간공모가 실패할 때마다 거론돼 왔다.

대전도시공사가 민간업체와 맺은 유성복합터미널 사업협약을 해지한 직후인 지난달 24일 대전시의회 오광영 의원(더불어민주당·유성2)은 5분 발언을 통해 "최대한 신속하게 최대 이익을 창출해 명품 터미널을 만들고 그 이익을 시민을 위해 쓰는 게 오랜 시간을 기다린 시민들에게 다소나마 보답하는 길"이라며 "이제 유성복합터미널은 개발 이익을 시민에게 돌려주는 공영개발로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문제는 대전시의 재정 부담이다. 관련업계에서는 공영개발로 터미널을 조성하는데 1500억 원 안팎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전액 시비를 들여야 한다는 점에서 대전시 재정 건전성 악화 우려가 제기된다.

민·관 합동형 공모도 대안 중 하나다. 김재혁 대전도시공사 신임 사장은 지난 28일 시의회 인사청문간담회에서 구체적인 사업 정상화 방안을 묻는 의원들 질의에 "공사와 민간이 공동으로 개발하는 방식으로 가는 게 좋다고 보는데 협의할 곳이 많아 굉장히 조심스럽다"고 답한 바 있다. 도시공사의 참여로 유성복합터미널 조성사업의 신뢰도가 높아지고 자금조달도 원활해질 것이란 기대가 나오는 반면 도시공사가 이 같은 방식을 추진해본 경험이 전무하다는 게 단점으로 지적된다.

이와 함께 도시공사가 직접투자하는 방안이 있다. 터미널 사업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터미널의 안정적 운영은 긍정적이지만 지방공기업법의 적용을 받는 조직 특성상 제약이 많고 사업성이 악화될 경우 공사 재정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건 위험요소다. 도시공사 한 관계자는 "공사가 직접투자를 하려면 회사채를 발행해야 한다"며 "관련법의 엄격한 제한을 따라야 하고 여러 조건을 충족한다고 해도 공사 재정 여력상 회사채 발행은 쉽지 않은 문제"라고 말했다.

민간사업자 재공모는 그간의 실패에도 여전히 가능성 있는 대안으로 평가된다. 재정적 부담에서 자유롭고 단순 여객터미널이 아닌 복합시설 조성이라는 시민들의 기대에 부응한다는 측면에서다. 관건은 대기업 등 규모 있는 기업의 참여 여부다. 대전시 한 관계자는 "다시 민간공모를 추진한다면 유성복합터미널 조성사업을 끝까지 마무리할 수 있는 건실한 기업으로부터 투자를 이끌어내야 하는데 코로나19 확산 등 투자심리의 변수가 많아 고민스럽다"며 "이달 중 관련 업계·시장 조사와 함께 추진가능한 모든 대안을 면밀하게 살펴본 뒤 향후 계획을 확정하겠다"고 말했다. 문승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