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 계획 발표가 언제 나올지 전국 시·도들이 촉각을 곧추세우고 있다. 공공기관 추가 이전 카드는 세종 행정수도 완성에 버금가는 회심의 균형발전 정책으로 정의된다. 기존 10개 혁신도시 지역도 기대에 부풀어있지만 이달 혁신도시 지정 신청서를 제출해 놓은 대전·충남은 그들보다 몇 갑절 더 절실한 입장이다. 일단의 공공기관을 유치만 하면 선발그룹 혁신도시들에 대한 추격전을 벌일 수 있고 나아가 그들을 능가하는 정책 효과를 낳을 것이기 때문에 대전·충남이 더 속을 태울 수밖에 없다.

그런 가운데 최근 김사열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이 수도권 공공기관 추가 이전 계획과 관련해 청와대에서 업무보고를 한 사실이 확인됐다. 김 위원장이 공식보고까지 마쳤다면 2차 공공기관 이전 구상은 거의 완성 단계에 있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균발위의 후속 조치를 기다려봐야 하는데 대체로 국토연구원이 수행한 혁신도시 평가 용역 결과가 공개되면 이에 맞춰 공공기관 추가 이전 로드맵의 얼개가 나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차 공공기관 이전은 수도권 1극주의를 허무는 동시에 균형발전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라도 어차피 가야할 길이다. 지금 사정은 혁신도시 시즌 1 때보다 더 열악해졌고 그래서 공공기관이라는 공공부문 실물자산을 `대전·충남 혁신도시`를 비롯해 혁신도시 지역으로 배분해야 할 필요성이 가일층 증대됐음을 부정하지 못한다. 공공기관 추가 이전은 민주당 지도부에서 거듭 공언한 바 있는 정책 의제라는 점에서도 이 카드를 마냥 주머니 속에 넣어둔 채 시일을 끄는 것은 일종의 정책 신의성실원칙에도 반한다 할 것이다. 시기적으로도 무르익을 만큼 무르익었다고 볼 수 있다. 지역경제가 힘들고 지역인재들 취업시장도 좁은 데다 인구 유출 등 코너로 몰리는 현실을 감안할 때 수도권 공공기관들의 `하방`은 "지역경제 회복의 발판"(문재인 대통령)이 될 게 자명하다.

이전 대상 규모도 대략 100여 기관으로 추려졌고 정책적 결심만 굳히면 된다. 일각에서 신중론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그들이 우려하는 부분까지 보완해 2차 공공기관 이전 계획을 설계하면 혁신도시 평균 경쟁력 지수를 끌어올리면 올렸지 낮출 일은 없을 것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 그 정도 뜸들였으면 됐지 싶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