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개 의석을 놓고 다투는 여야의 충남권 정책·공약이 별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요는 충남도 추진 사업들을 재활용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는 데에 일차적인 원인이 있다는 지적이다. 여야가 제시한 현안 목록들, 예를 들어 혁신도시 지정 및 공공기관 유치, 서해선 복선전철 서울 직결, 보령선 건설 등 시업이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충남도가 이미 지역현안을 정리해 주었고 그중에서 무엇을 취사선택할 것인지 하는 문제는 각 정당 재량의 범주에 속한다.

그럼에도 단순 나열식에 그치는 현실은 지역민들의 기대치에서 거리가 멀어 보이게 한다. 직설적으로 표현하면 지자체에 기대어 선거를 치르고 있는 것이며, 보다 근본적으로는 충남 전체를 아우르는 기획력의 빈약이 여야의 공약 경쟁의 경계선을 흐릿하게 하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충남권 선거를 대하는 여야의 무신경과도 일맥상통하는 측면이 없지 않다. 충남 표심을 엄중하게 여겼다면 지난 20대 총선이나 2018년 지방선거 때 써먹었던 정책·공약 메뉴들을 21대 총선 시장에 또 들고나와 마케팅하는 모습을 연출했을까 하는 데까지 생각이 미친다.

경우에 따라선 재탕도 할 수 있고 재활용도 할 수는 있는 노릇이다. 단 조건이 있다. 소비자인 유권자가 그 정도면 충분히 최선에 가까운 노력을 기울였다는 `감정이입` 욕구가 꿈틀댈 수 있어야 한다. 그게 아니라면 여야의 충남 총선 공약은 지역구민들 눈에 오십보백보로 비쳐지고 있음을 방증한다 할 것이다. 더구나 총선 공약으로 채택했다고 해서 정부 정책으로 최종 수렴된다는 보장이 없다. 문제는 재정이고 편익성인데, 이 부분에 대해 대안과 해법 없이 다 될 것처럼 선전전을 펴는 방식은 시대에 뒤쳐지기 십상이다.

특정 현안과 관련해 사안의 경중과 본질적 맥락을 꿰뚫어 보지 못하고 있는 것도 아쉽기는 매일반이다. 가령 혁신도시 정책을 담보하려면 이와 맞물린 공공기관 이전을 전제로 유치 목표 숫자 하한선 정도는 밝혀줘야 하는데 그렇지 않아 공허감이 느껴진다. 아울러 지역구 논리를 떠나 표류중인 충남 안면도 관광지 사업에 대한 현실 진단을 외면하는 듯한 태도 역시 당당치 않다. 총선 때 정책과 공약의 지평을 넓히지 못하면 또 언제 할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