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 본격 선거운동 개시 이후 첫 주말이 지났으나 선거 분위기는 크게 가라앉은 모양새다. 현장을 누비는 후보자들의 발걸음은 분주한데 반해 유권자들의 반응은 그리 탐탁지 않아 보인다. 투표를 열흘도 남겨놓지 않은 상황이건만 거리는 조용하다. 간간이 오가는 유세 차량이나 후보 현수막 등이 없다면 선거운동이 이뤄지고 있는지 가늠하기 조차 어려울 정도다. 총선 승리를 향한 여야의 절박함을 고려하면 상당히 이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아무래도 우리 사회를 휩쓸고 있는 코로나19로 인한 것으로 이해되지만 눈만 뜨면 정쟁으로 일관하는 정치권에 대한 국민적 불신도 한몫을 한 것이나 아닌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을 듯하다.

여든 야든,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와 개인 위생수칙이 강조되는 현실에서 대면 접촉을 이어가며 요란한 선거운동을 하기에는 부담도 크고, 역효과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기선잡기가 중요한 첫 주말임에도 차량을 이용한 거리유세나 선거송, 선거운동원을 동원한 율동이나 구호를 최대한 자제했을 것으로 이해한다. 중앙당이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 즈음부터 각기 선거운동 수칙을 정하고 이를 준수하는데 초점을 맞춘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보여진다.

선거운동이 위축된 또 하나 원인은 여야 정쟁에서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여야는 지난해 내내 민생은 외면한 채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내용으로 하는 선거법 개정안 등 패스트트랙 법안 처리를 놓고 소모전을 벌였다. 올해 선거국면으로 접어들면서부터는 비례대표용 위성정당 창당과 공천 논란으로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이번 선거에 유권자 반응이 냉담한 것도 따지고 보면 선거법과 공천 논란 등의 연장선상에서 비롯된 측면이 적지 않다. 도를 넘어선 여야의 이전투구가 유권자들에게 `정치적 거리두기`를 강제한 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야의 국정 안정론과 정권 심판론이 충돌하는 총선이 지나치게 과열되기보다는 차분하게 진행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하지만 유권자가 정치권에 대한 불신과 실망으로 등을 돌리는 것과는 다른 차원이어야 한다. 가뜩이나 코로나19로 인해 깜깜이 선거로 흐를 가능성이 있는 이번 총선에 정치혐오까지 가미된다면 미래는 암울하다. 여야가 남은 선거운동기간 이를 유념했으면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